국토교통부가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제출한 업무보고서에 명시된 주요 국가사업에서 유독 ‘전북'만 누락된 사실이 드러났다. 국토위 소속 이춘석 의원(익산갑)은 박상우 국토부 장관에게 "전북은 대한민국 국토가 아니냐. 버린 지역이냐"고 항의하며 정부의 전북에 대한 인식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국토부의 첫 국회 업무보고가 열린 이날 회의에 제출된 해당 자료에는 전국 지자체 수백여 곳이 ‘광역철도’ ‘고속도로’ ‘지방국지도’ ‘초광역계획’ ‘국가첨단산업단지’ 계획에 포함됐지만, 전북은 광역자치단체는 물론 14개 기초자치단체 단 한 곳도 언급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서 국토위 중진인 더불어민주당 4선 이춘석 의원(익산갑)은 박 장관에게 “국토부 사업 추진현황에 전북만 뺀 모든 광역지자체와 수백 개 기초지자체가 나열돼 있다. (국토부 사업에서 완전히 배제된)전북은 (정부가)버린 자식이냐. 땅 파서 대한민국 떠나라는 거냐”며 "지금 (저는) 멘붕에 빠졌다. 이 엽기적인 ‘전북 죽이기’에 맞서 싸우겠다”며 분개했다. 박상우 장관은 “(국토부의 업무보고서에) 왜 전북만 빠졌느냐”고 묻는 이 의원의 거듭된 질의에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한 채 “죄송하다”면서 말을 흐렸다.
전국적으로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서면서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됐다. 제주지역 65세 이상 인구는 5명 중 2명꼴이다. 행정안전부는 전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00만62명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 5126만9012명의 19.51%를 차지한다고 11일 밝혔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중 남자는 442만7682명, 여자는 557만2380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114만4698명 더 많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중 수도권 거주 인구는 448만9828명, 비수도권은 551만234명으로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102만406명 더 많다. 수도권은 권역 내 전체 주민등록인구 2604만284명 중 17.24%, 비수도권은 전체 주민등록인구 2522만8728명 중 21.84%를 65세 이상이 차지했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비율을 시도별로 보면 전남이 26.67%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북(25.35%), 강원(24.72%), 전북(24.68%), 부산(23.28%), 충남(21.80%), 충북(21.42%), 경남(21.25%), 대구(20.26%) 순이었다. 제주지역의 경우 지난 10일
속보=강원특별자치도가 10일 정부에 제2경춘국도와 영월~삼척고속도로의 조속한 추진(본보 7월4·9일자 1면 보도)을 요청했다. 제2경춘국도는 정부 주도의 예타 면제로 기대만 잔뜩 모은 채 5년 째 첫삽도 못 뜨고 있으며 영월~삼척고속도로는 사실상 국내 유일의 고속도로 공백지인 폐광지역을 지난다는 점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는 것이 강원자치도의 입장이다. 도민들 사이에서도 강원지역 최대 숙원인 제2경춘국도와 영월~삼척고속도로에 대해 정부가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제2경춘국도 건설, 영월~삼척고속도로 건설, 반도체 K-소재·부품 생산거점 구축 등을 건의했다. 김 지사는 이날 주요 현안사업에 대한 추진상황을 설명하며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총사업비 협의, 예비타당성 조사 조기 통과, 국비 지원 등 중앙정부 차원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건의했다. 제2경춘국도는 2019년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선정돼 예타가 면제된 23건의 사업 중 유일한 강원지역 사업이다. 하지만 공사 유찰과 사업지연에 따른 물가 상승 등으로 정상적인 사
10일 오전 창원시 마산회원구. 가랑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구부정히 허리가 굽은 한 할머니가 작은 수레를 끌며 가게 앞에 놓여 있거나 길가에 버려진 박스를 주워 담았다. 가져가도 되는지 눈치를 보면서 박스를 싣기 위해 허리를 굽혔다 펴기를 반복했다.덥고 습한 기후 탓에 꿉꿉한 골판지 냄새가 올라왔지만, 할머니는 이름과 나이를 밝히기 꺼리며 이내 발걸음을 옮겼다.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한 고물상 주인은 “지금은 폐지 가격이 1㎏당 70원이라 평소보다 가격이 괜찮은 편”이라며 “보통 어르신들이 하루에 2000~3000원, 많으면 5000원 정도 벌어가는데, 이 정도로는 생계에 큰 보탬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경남에서 폐지를 주워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폐지수집 노인 지방자치단체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폐지수집 노인은 1만4831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경남은 1540명으로, 서울(2530명)과 경기도(2511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았다.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진행된 이번 전수조사는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폐지수집보다 소득이 더 높은 노인일자리 사업을 연계하고, 누락된 보건
연천 및 강원 철원 주민들의 불편 가중에 따라 경원선 '연천역~백마고지역' 통근열차(국철)의 연말 재개통이 예정된 가운데 해당 지자체들의 재정 부담 걱정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 경원선 전철(수도권 1호선 연장) 종착역인 연천역이 중간 기착지로 전락할 경우 '지역경제 후퇴'를 우려하는 주민들의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10일 연천군에 따르면 연천역~백마고지역 통근열차는 2019년 4월 수도권 1호선을 연천역까지 연장하는 경원선 전철화사업으로 중단됐다. 이에 연천군은 신탄리역부터 연천역까지 지자체 부담으로 버스를 운행중이며, 철원군도 농어촌 버스를 신탄리역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지난달 연천역 회의실에서 연천군, 철원군 관계자와 연천역~백마고지역(20㎞) 경원선 통근열차 연말 재개통 예정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 코레일은 경원선 통근열차 재운행이 확정되면 디젤기관차 5량으로 하루 12회 단선 운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차량과 시설개량, 운영 등의 예산이 수반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국토교통부와 연천군, 철원군의 분담을 제안했다. 코레일이 추정한 운행예산은 단선 운행임에도 연간 131억여 원에 달한다. 이에 양 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광주·전남지역의 소비자물가는 차츰 안정되고 있지만, 고용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지역 차원의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들의 이주 현상이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장기간 지역 내에 머무를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유치·창출하는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광주시 고용률은 지난 4월 하락한 뒤 두 달만에 소폭 반등했지만, 전남은 올해 들어 지속되던 상승세가 꺾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5월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에 돌입했지만, 광주시는 여전히 3.2%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전남 역시 2.9%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역민들의 소비 위축, 지역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 등 노력에 따라 지난달 광주·전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로 내려 앉았다. 지난달 광주시 소비자물가지수는 114.38로 전년 대비 2.7% 올랐고, 전남은 114.68로 2.7% 상승했다. 이처럼 지역 물가는 점차 안정되는 모습이지만, 고용률은 여전히 60%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도시 대전을 미국 실리콘밸리에 버금가는 '국가대표 K-스타트업 밸리'로 집중 육성하기 위해 중장기 지원정책과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포럼이 개최됐다. 대전 스타트업 중심지를 총 5개 타운으로 집적화해 창업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는 동시에 재정구조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대전 동구)·박정현(대전 대덕구)·장종태(대전 서구갑) 의원은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대한민국 대표 K-스타트업 밸리로서의 과학기술도시 대전광역시의 비전과 혁신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대전시, 대전상공회의소,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가 후원하고 한남대가 주관한 이번 포럼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스타트업 밸리 육성과 관련, 혁신적인 창업생태계 여건을 갖춘 대전의 육성 당위성과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최병관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본부장은 '대전 창업 정책 성과 및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대전 스타트업 중심지를 관내 5개 타운으로 집적화해 특성화시키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1타운(카이스트-충남대)인 대전 스타트업파크를 중심으로 2타운(중앙로·소셜벤처 특화거리), 3타운(전민동·창업성장캠퍼스),
대구 동구는 최근 소멸위험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이곳에 위치한 대구혁신도시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유아부터 학령 인구는 물론, 경제활동인구마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구시는 채용 확대를 위한 지원은 물론, 교육기관 확대에 힘쓰고 있다. ◆ 학령 인구와 생산 인구 등 주력 인구 감소 대구 동구 혁신동 전체 인구는 1만7천319명(6월 말 기준)이다. 이는 당초 대구혁신도시 조성 당시에 목표했던 정주인구 2만2천215명의 77.96%에 그친다. 지난 3월 1만7천602명(79.23%)을 기록하는 등 2020년 7월(안심3·4동서 분동)부터 4년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대구혁신도시가 목표 정주 인구를 채우지 못한 것은 전체 인구의 83%(1만4천387명)를 차지하는 '0~59세' 구간(1년 단위) 가운데 '0~18세', '28~50세' 구간이 주요했다. 지난 2020년 7월 기준 혁신동에 거주하던 0세는 248명으로, 4년이 지난 현재(2024년 6월) 4세 인구는 204명으로 줄었다. 4년 전 살던 0세 아이 44명이 이 기간 동안 대구혁신도시를 떠난 셈이다. 또 같은 기간 동안 10세(237명)가 14세로 성장하면서
밤사이 전북지역에 최대 255㎜, 군산 어청도에는 한때 시간당 146㎜의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피해가 속출했다. 완주에서는 하천이 범람하면서 주민 18명이 고립됐다가 구조되기도 했다. 10일 전북자치도와 전주기상지청 등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주요지점 일강수량은 익산 함라 255.0㎜, 군산 196.5㎜, 군산 어청도 177.5㎜, 진안 주천 125.0㎜, 무주 104.5㎜, 전주 52.7㎜, 장수 52.3㎜, 순창 복흥 43.5㎜, 완주 구이 39.5㎜, 임실 강진 37.0㎜ 등을 기록했다. 군산 어청도에는 시간당 최고 146㎜의 폭우가 쏟아지기도 했다. 비피해도 속출했는데, 낡이 밝고 피해가 집계될수록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11분께 완주군 운주면사무소 인근 장선천이 넘쳐 주민 여럿이 고립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 당국은 구조 인력을 투입해 건물 옥상 등에 대피해 있던 주민 18명을 순차적으로 구조했다. 이들은 운주면행정복지센터로 대피했으며, 대부분 건강에는 이상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산(5명), 진안(6명)에서는 산사태에 대비해 주민 대피도 이뤄졌다. 이날 오전 6시
② [제주 민생경제를 살리자]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위기 지난 7일 제주의 대표 상권인 칠성로 쇼핑거리. 의류·신발·액세서리 점포가 들어선 이곳에는 임대 문구가 나붙었다. 아케이드 상가의 경우 점포 2~3곳을 지날 때마다 ‘임대 문의’가 붙여져 있었다. 일부 가게는 ‘권리금 없음’을 알렸고, ‘점포 정리’라고 붙여진 텅 빈 매장에는 의류 박스가 쌓여 있었다. 한 때 공시지가가 가장 높았던 금강제화에서 탑동 방면으로 이어진 칠성로 차 없는 거리(관덕로 11길)도 사정은 마찬가지. 이 거리 4층 건물에는 ‘통임대’ 현수막이 내걸렸다. 제주의 쇼핑 1번지로 불렸던 칠성로 차 없는 거리에 빈 점포가 나오면서 불황의 늪은 깊었다. 이곳 상인들은 경기 침체에 고금리, 고물가, 소비 부진 여파로 코로나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고 호소했다. 한 상인은 “패션 의류에서 스포츠·아동 의류까지 온라인에서 최저가 경쟁을 하고, 중저가 브랜드의 대형 의류 유통매장이 들어서면서 장사가 어렵다”며 “반면, 임대료와 각종 공과금은 매년 오르고 있다”고 울상이다. 제주 경제의 허리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해 도내 외식업체 5곳 중 1곳이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