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7일 0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6일 밝혔다. 포항, 구미 지역 물류대란 등 후폭풍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번 총파업에 전국 16개 지역본부 조합원 2만5천명 대부분과 비조합원 화물 노동자 상당수가 참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2개 본부 3천700여명의 전 조합원이 파업에 동참할 예정이다.
이번 총파업의 쟁점은 '안전 운임제 일몰제'다. 안전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지난 2020년부터 올해 말까지 3년 일몰제로 도입됐다.
화물연대 측은 경윳값 폭등으로 안전 운임제 없이는 생계유지가 곤란한 상황이라며 정부에 안전 운임제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김동수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대구경북 본부장은 "생존권이 달린 만큼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현재의 경유 값으로는 운행을 하면 할수록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번 총파업 예고로 포스코 포항제철소 등 철강업체가 많은 경북 포항과 대기업 사업장이 있는 구미에서는 물류 수송 차질 등 물류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포항제철소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이 본격 시작되면 하루 약 3천t의 물량 출하가 지연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생산중단 등 고객사 공장 가동에도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포항제철소는 선재, 후판, 열연, 냉연, 전기강판 등 하루 3만t가량의 물량을 출하하고 있다. 최근 철강제품 수요가 높다는 점에서 출하지연은 공장운영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포항제철소 관계자는 "하루 평균 출하량의 10% 가량이 출하되지 못한다면 창고 확보와 함께 생산량 축소 등을 검토해야 한다. 만약 파업이 장기화되면 생산설비를 중단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어 여러 가지 대응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구미시 등도 비상 상황에 돌입해 지역 수출업체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구미국가산업단지 내 수출업체 관계자는 "최근 수출물량이 적잖은데 총파업을 할 경우 물류 대란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했고, 다른 관계자는 "총파업이 일반화물 차량 운행 방해, 충돌 등으로 이어질까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경찰은 화물연대 총파업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차량을 이용한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현장 검거를 원칙으로 형사적 처벌과 함께 운전면허 정지·취소 등의 행정처분을 병행할 예정이다.
심헌재 기자 gjswo0302@imaeil.com , 이창희 기자 lch888@imaeil.com , 박승혁 기자 psh@i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