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유일 공공 종합병원으로 지방필수 의료를 담당하는 마산의료원이 지난해 100억원대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 위기를 맞고 있다.
정부는 전국 공공의료기관의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경영혁신 지원 사업을 통한 자구 역량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지만 정상화 여부는 미지수이다.
24일 경남도와 지역거점공공병원알리미 공시 등에 따르면, 마산의료원은 지난해 105억원 상당의 당기순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2019·2020년에 각각 47억원, 2021년 134억원 흑자를 남겼지만 2022년 4억원의 흑자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부터 적자로 돌아섰다.
마산의료원은 1914년 진주자혜의원 마산분원으로 설립된 이래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 역할을 해왔다.
1997년부터 경상국립대병원이 위탁 운영 중이며, 2016년 4월 현대식 새 병원으로 신축 개원하면서 현재 지하 1층, 지상 5층, 298병상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만년 적자에 허덕이던 마산의료원이 10년 만에 흑자로 전환한 것은 2015년부터다.
마산의료원은 2013년 25억8700만원의 적자를 남겼지만, 2014년 1억5000만원으로 적자 폭을 줄인데 이어 2015년 6억3400만원 흑자를 냈다. 이는 서민을 위한 공공의료기관으로 공익성을 추구하면서 재정 건전화를 이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겪으며 다시 적자난에 시달리게 됐다. 2020년 1월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일반 환자를 의료기관으로 대거 전원시키는 등 최일선에서 대응했지만, 그로부터 현재까지 한 번 떠난 환자가 돌아오지 않는 등 병원 정상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마산의료원은 2020~2023년 코로나19 시기 환자 기여도에 따라 정부로부터 619억원 상당 손실보상금 지원을 받았다. 그런데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한 지난해의 경우 일반 환자 수는 정상화되지 않은 반면 손실보상금은 14억원 상당으로 줄어들며 직격탄를 맞은 것으로 전해졌다.
도 “인건비 체불 가능성 없어
올 상반기 19억 상당 지원 받아
경영혁신 사업으로 일어설 것”
◇경남도 “운영비 보조 없지만 경영혁신 지원”= 자칫, 공공의료가 무너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데, 경남도는 운영금 지원에 대해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의료기관 시설이나 진료환경 등은 국·도비 사업으로 보조가 되더라도, 독립채산제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운영비 성격의 보조는 불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대신 올해 보건복지부의 ‘공공병원 경영혁신 지원’ 사업에 따라 의료원에 대한 지원금액은 국비와 지방비가 50%씩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경남도 의료정책과 관계자는 “마산의료원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이지만 잉여금이 존재한다. 또 2019년까지 흑자로 자체적으로 잘 운영해 왔다. 당장 인건비를 못 준다거나 체불의 가능성이 없다”라며 “올해는 경영혁신 지원 사업 등을 통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공공병원 경영혁신 지원 사업을 추진, 지방의료원 35개소와 적십자병원 6개소 등 총 41개 지역거점공공병원에 대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혁신계획을 제출받아 그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에 지방의료원 병상규모에 따라 3개로 그룹화해 계획평가 결과에 따라 615억원을 우선 지원한 뒤, 하반기에 혁신계획 이행여부 및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로 261억원을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마산의료원은 상반기 평가에서 200~299병상 그룹 중 B등급을 받아 19억원 상당을 지원받게 됐다.
◇전국 의료원 생존 담보 못해= 보건의료노조는 지방의료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 담보와 육성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2019년 마산의료원을 비롯한 지방의료원 35곳에서는 292억원 상당의 합계 흑자를 냈지만, 2023년에는 합계 적자 규모가 3156억원에 달했다. 병상가동률의 경우 2019년 81%였지만 지난해는 42.9%에 불과했다. 노조는 최근 전국 지방의료원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지역의료를 강화하겠다는 의료개혁 내용에 지역거점공공병원(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육성 계획은 없다”라며 “지방의료원에 의사가 부족하고 인력 이탈로 기능이 마비되고 있는데 기능을 회복하고 진료역량을 갖추기 위한 계획도 없다. 2~3년간 코로나 전담병원 역할을 수행하며 온갖 헌신과 희생을 감내한 대가로 발생한 극심한 경영난, 임금체불과 존폐 위기를 해결할 대책도 없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에서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워 민간이 기피하는 필수의료를 지방의료원이 감당하도록 맡겼다. 공공병원에 필수의료 진료과목과 의료약자의 진료 비중이 높은 것은 당연하며, 착한 적자는 불가피하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병원에 부여한 공익 기능에 따른 ‘착한 적자’를 책임지지 않는 몰염치한 행태는 더 이상 지속되어서 안 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