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부울경 역사적 초석’ 가야사 큰 얼개 다시 그린다 [깨어나는 가야사]

2017년 기획 보도로 관심 환기
연구 저변 확대 안 돼 복원 미진
윤 정부선 아예 국정과제 제외
600년 역사 15회 걸쳐 시리즈
‘잊힌 제국’ 실체 집중 조명 나서

 

〈부산일보〉가 지역사의 심층이자 한국 고대사에서 빠뜨릴 수 없는 가야사의 큰 얼개를 그리는 데 나선다. 통상 가야사를 수식하는 ‘미지’와 ‘잊힌’의 장막을 걷어내고 그 실체에 한발 더 다가서기 위해서다.

 

〈부산일보〉는 2004~2006년 소설가 최인호의 역사추리소설 〈제4의 제국〉, 2017년 일본과 인도를 현지 취재한 기획 ‘잊힌 왕국 가야를 깨운다’ 등을 통해 가야사에 대한 시민적 관심을 크게 확장시켜 왔다.

 

이런 가운데 특히 근년 가야사 복원 사업이 활발해졌으며, 이를 가야사 전체 맥락 속에서 정리하는 것이 시급하다. 지난 문재인 정부 때 국정과제로 진행된 ‘가야사 연구 복원 사업’에 지원된 예산은 모두 3005억 원이다. 이는 앞서 가야사 복원 사업을 크게 벌인 김대중 정부 때 예산 규모(1297억 원)의 2.3배가 넘는 수준이다.

 

 

근년 가야는 대단한 주목을 받았다. 먼저 가야 유물에 대한 보물 지정이 크게 달라졌다. 복천동 고분군 출토 ‘청동 칠두령’ ‘철제 갑옷 일괄’ 등 가야 유물 총 12건이 2019~2020년 보물로 지정됐다. 최근 보물로 지정 예고된 ‘함안 말이산 45호분 출토 상형도기’까지 포함하면 13건에 달한다. 이는 1971년 이후 45년 동안 가야 유물 8건만이 국보·보물로 지정된 것에 비할 때 현격하게 달라진 것이다.

 

‘부산 연산동 고분군’ ‘함안 가야리 유적’ ‘합천 삼가 고분군’ 등 가야 고분군 7곳도 국가 사적으로 추가 지정됐다. 그뿐만 아니라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은 1991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으로 가야사 특별전(‘가야본성-칼과 현’)을 열었고, 2017년부터는 가야고분군 7곳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도 추진단이 발족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이런 대단한 주목 속에서도 여전히 가야사는 그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그만큼 가야사 복원의 갈 길은 멀다. 전문가들은 “1980년대 이후 40여 년간 많은 고고학적 발굴이 있었으나 세부적 차원에서 가야사 복원은 절반 수준에도 이르지 못했다”고 말한다. 600년에 이르는 가야사 복원에는 공백이 여전히 많고, 세부 사항을 놓고 각종 논쟁이 진행 중이거나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는 것이다. 국경이 없던 시절 가야와 왜의 관계를 어떻게 봐야 할지 하는 문제도 고대사의 예민한 ‘아킬레스건’처럼 놓여 있다.

 

이뿐만 아니다. 김두철 부산대 고고학과 교수는 “근년 가야사 복원이 활성화된 측면은 있지만 그것은 국가기관, 지자체, 하드웨어 중심”이라며 “정작 중요한 가야사 연구의 저변 확대로는 이어지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연구 시스템의 저변을 두껍게 하는 것이 시급한데 설상가상으로 윤석열 정부에 들어와 ‘가야사 연구 복원 사업’은 국정과제에서 빠져 버렸다.

 

그러나 여러 공백과 논점, 들쭉날쭉한 지원 속에서도 가야사 규명은 시민적 관심의 확산과 함께 한 발짝씩 진전돼 온 것도 사실이다. 〈부산일보〉는 가야사 복원의 중요성을 다시 환기하고, 광역연합을 논하는 부·울·경 지역의 역사적 초석을 확인한다는 차원에서 가야사 발굴·논의의 진전된 성과를 아우르며 가야사 큰 얼개를 그려 보는 ‘깨어나는 가야사’ 시리즈를 싣는다. 이 시리즈는 15회에 걸쳐 기원전 1세기 가야의 서막부터 기원후 6세기 가야 멸망에 이르기까지 가야사를 집중 분석하게 될 것이다.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