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지역 창업 기업의 3년 생존율이 51.5%로 전국 평균(53.8%)보다 낮아 도내 창업자 중 절반가량이 창업 3년 내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에서 은퇴한 이들이 준비 없이 진입하는 생계형 창업이 많고, 디지털 역량이 부족한 고령층 창업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제조업 중심 산업 구조와 급속한 고령화가 맞물린 경남에서 자영업자의 ‘디지털 격차’가 생존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한식음식점, 커피음료점 등에 창업이 집중되면서 3년 생존율은 40~50%대에 그쳤다. 같은 업종에 신규 창업이 반복되면서 경쟁은 심화하고 생존율은 더욱 낮아지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또 전국 자영업자 중 60세 이상 비중은 2011년 18.4%에서 2024년 32.9%로 커졌다. 그러나 음식·주점업 분야의 60대 이상 디지털 도입률은 8%대에 그쳐 20~30대(40%)의 20%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자영업자의 매출은 비활용 대비 최대 2.9배 높았다.
온라인 소비는 빠르게 확대됐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5년 새 90% 늘었고, 배달 음식 시장도 26조원 규모로 커졌다.
하지만 고령층 자영업자들은 스마트폰 주문, 플랫폼 수수료 구조 등을 이해하기 어려워 시장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경남은 구조적 취약성이 더 크다. 지난 10월 기준 도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23.0%로 전국 평균(21.0%)을 웃돌며, 밀양·합천·의령 등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깊숙이 진입했다. 청년층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소비 기반은 축소되는데, 은퇴 제조업 인력이 치킨집·편의점 등으로 대거 진입해 공급만 늘어나는 불균형이 고착화되고 있다.
보고서는 창업 대출 중심 정책이 구조 전환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한다. 소상공인진흥기금의 융자 비중이 70%를 넘으면서 오히려 부채 부담을 키운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은퇴 후 생계형 창업보다 맞춤형 일자리 확대, 업종 전환·전직 훈련 강화, 플랫폼 활용 교육 등 디지털 역량 중심의 지원 체계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