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경관' 살린 부스 호평 광역자치단체 부문서 쾌거 화천군 시·군·구 부문 동상 2021 대한민국 대표 축제박람회에서 활발한 홍보 활동을 펼친 강원도가 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베스트 축제 어워드 광역자치단체 부문에서 쾌거를 얻었다. 산천어축제 콘셉트로 다양한 이벤트를 펼친 화천군은 시·군·구 부문 동상을 받았다. 강원도는 강점인 ‘힐링'과 ‘자연경관'을 살린 부스 운영을 통해 도내 대표 축제들과 관광지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SNS 팔로우 이벤트 등을 진행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 점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창규 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지난해와 올해 코로나19로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음에도 강원도는 온라인·비대면 방식을 활용해 도내 숨은 관광지, 힐링 관광지를 알리려 노력했다”며 “그러한 준비 덕분에 대상이라는 큰 상을 수상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화천군은 산천어축제의 콘셉트인 ‘얼음나라'를 부스에 그대로 구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화천 축제 이름 맞추기, 산타에게 편지쓰기 등 참신한 마케팅으로 관람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자연스럽게 화천의 관광지와 축제를 인식시켰다는 점에서 고평가를
문체부 지난해 조사 결과 자연경관 만족 전국 최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한 와중에도 지난해 국민들이 방문한 여행지 중 강원도가 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발표한 '2020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국민들의 총 여행 횟수는 2억2,519만9,000회였다. 강원도는 이 중 9.9%인 2,236만2,000회로 2위에 올랐다. 1위는 20.2%로 4,549만6,000회를 차지한 경기도였고 경남 2,139만8,000회, 충남 1,964만5,000회, 전남 1,960만3,000회 순이었다. 강원도는 특히 숙박여행에서 강세를 보였다. 국내 전체 숙박여행 횟수 8,845만회 중 강원도가 16.5%인 1,464만3,000회를 차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연령별로는 20대(12.3%), 가구원별로는 3인 이상 가구(11.3%), 소득별로는 600만원 이상(16.9%) 관광객의 강원도 여행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행지별 만족도 순위에서 강원도는 81.8점으로 광주(84.9점), 제주(84.1점), 전남(82.5점)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특히 도는 당일여행 자연경관 만족도에서 90.6점을 기록해
바나나, 파인애플, 샤인머스캣 등의 열대작물들이 강원도에서도 생산되고 있다. 기후변화가 가져온 현상이다. 농업 전문가들은 새로운 소득 향상의 기회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했다. 원주시 지정면의 이학원(61)씨는 5년 전부터 8,000㎡ 면적의 비닐하우스에서 바나나를 재배하고 있다. 추운 강원도에서 바나나 생산이 가능할지 의문이 들지만 높이 5m, 굵기 30㎝에 이르는 바나나 나무가 대부분이다. 이씨는 “겨울철에는 비닐하우스에서, 5월부터 10월까지는 노지에서 잘 자란다”면서 “현재 안정적인 과육 생산을 연구중”이라고 말했다. 강원도에서 열대과일이 재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삼척시 농업기술센터는 최근 파인애플, 파파야 등의 재배에 성공, 농가 보급을 앞두고 있는 중이다. 고성에서는 키위와 체리를 새로운 신소득작목으로 선정했다. 현재 키위와 체리를 재배하려는 농업인 신청을 받는 중으로, 그동안 농민 14명이 신청해 10명이 재배를 시작했다. 강릉에선 6,600㎡ 면적, 2만여 그루 규모의 커피농장까지 등장했다. 신품종 작물 재배농가 역시 속속 늘어났다. 횡성과 평창의 11개 포도 농가는 프리미엄 과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샤인머스캣'을 새롭게 도입, 생산에 들어갔
6월 1주차 도내 ℓ당 1,560원 28주째 올라 서민 부담 급증 경유 역시 ℓ당 1,358원 기록 국제유가 상승세 당분간 계속 연일 고공행진을 하는 국제유가로 기름값마저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특히 2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한 국제유가 상승세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어서 인플레이션 우려도 나오고 있다. 6일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6월 1주 차 기준 강원도 내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 보다 6.99원 오른 ℓ당 1,560.59원이었다. 자동차용 경유 역시 전주 보다 6.55원 오른 ℓ당 1,358.68원을 기록했다. 도내 휘발유 가격과 경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4주차 이후 28주 연속 상승세다. 더욱이 도내 주유소 중 휘발유를 ℓ당 1,698원에 판매하는 곳도 등장했다. 경유 최고가는 1,498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같은 상승세가 지속되면 조만간 강원도내 휘발유 가격 1,700원을 내건 주유소가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름값 상승은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직장인 김모(31)씨는 “요즘에는 5만~6만원을 넣어도 양이 부족하다”면서 “최근에는 인터넷으로 싼 주유소를 찾는 습관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름
“차트 보다가 새벽 취침” 유튜브 등 켜놓고 시차 맞춰 거래 고수익 기대감에 인기…미국 기술주 성장 잠재력 등 원인 직장인 김모(36·강릉)씨는 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서학개미'로 활동하기 시작한 지난해 12월부터 퇴근 후가 더 바쁘다. 퇴근 후 주식 유튜버 라이브 방송과 종목 탐색은 기본이다. 미국 나스닥과 다우의 거래가 시작되는 평일 밤 10시30분 부터는 주식창과 유튜브 라이브창, 채팅창 등을 동시에 켜 놓고 거래를 한다. 김씨는 “차트를 보다 보면 매일 새벽 3~4시가 돼야 잠이 든다”며 “피곤하지만 주식으로 돈을 벌려면 이 정도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프리랜서 이모(여·30·춘천)씨 역시 해외 주식을 시작하며 밤낮이 바뀌었다. 이씨가 정보를 얻는 주식 채팅방만 10여개에 달한다. 투자자들이 모여 있는 웹사이트 토론 게시판도 빼놓지 않고 훑는다. 이씨는 “채팅방과 게시판은 미국 주식이 진행 중인 밤부터 새벽 사이에 가장 활발하기 때문에 참여하다 보면 밤을 새우기 일쑤”라고 전했다. 김씨와 이씨의 조언에 따라 이번엔 기자가 서학개미를 체험해 봤다. 지난 15일 오후 5시 이씨를 따라 해외 주식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