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0.4℃
  • 맑음인천 9.4℃
  • 맑음원주 8.5℃
  • 맑음수원 8.4℃
  • 맑음청주 11.3℃
  • 맑음대전 9.2℃
  • 구름많음포항 16.1℃
  • 구름많음대구 12.2℃
  • 구름조금전주 12.5℃
  • 흐림울산 14.4℃
  • 흐림창원 15.2℃
  • 구름많음광주 13.5℃
  • 흐림부산 15.4℃
  • 구름많음순천 9.3℃
  • 맑음홍성(예) 8.8℃
  • 제주 14.3℃
  • 흐림김해시 15.2℃
  • 구름많음구미 10.0℃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호남의 선택이 대선 좌우한다

민주당 호남 경선 시작…‘전략적 선택’이 대선에 결정적인 영향
이재명, ‘구대명’ 투표율 높이기…김동연·김경수, 숙원사업 공약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인 호남권 표심의 향배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이번주 윤곽을 드러내는 더불어민주당 호남권 경선의 결과가 본 경기인 대권의 향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호남 민심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탄생시켰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전략적 선택’으로 역사의 흐름을 바꿨다. 사실상 호남의 선택이 대선 향배를 결정했다는 점에서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경선 구도가 ‘구대명’(90% 지지율로 후보는 이재명) 굳혀지는 상황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호남지역의 경선 참여율이다.

 

후보들은 광주와 전남지역 등의 폭넓은 투표 참여를 동력으로 민주당에 대한 국민지지를 확산한다는데 방점을 찍고 있다.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후보들이 잇따라 호남을 방문해 앞다퉈 지역 숙원사업을 공약으로 채택하고 공을 들이는 이유다.

 

투표율이 아직 달아오르지 않은 점은 부담이다.

 

24일 민주당에 따르면 경선 투표율 집계결과 호남권 권리당원 1일차(23일) 온라인 투표율이 23.29%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영남권 순회 경선은 투표율(온라인과 ARS 합계)은 각 55.18%, 60.33%를 기록했지만, 호남권에서는 이에 미치지 않을 것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 지난 20대 대통령 선거 광주·전남지역 민주당 경선에서 기록한 투표율은 56.2%(12만7823명 중 7만1835명)에 불과했다.

 

“과거와 비슷한 분위기로 경선이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 것이다. 호남 홀대 등의 이유 때문에 민주당에 반감을 가진 지역민들이 늘면서 ‘민주당 몰표’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다. 전통적인 민주당 텃밭인 호남 민심 대부분은 ‘정권 재창출’에 방점을 찍고 있지만, 지역민들은 민주당 경선에 아직 시큰둥한 모습이다.

 

이에 각 후보들은 연일 호남 민심 잡기에 ‘올인’하고 있는 모양새다. 호남은 민주당의 텃밭이라는 점에서 절대 놓칠 수 없는 지역이다.

 

수도권 지역에도 호남 출신 유권자가 많은데다, 호남이 민주당 결집의 핵심적인 촉매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동안 대선에서 호남 민심 결집이 전국 민심에 미치는 영향이 커왔다는 점에서다.

 

호남이 움직이지 않으면 수도권 등 다른 지역에서의 선전도 기대할 수 없어 민주당에서는 호남을 반드시 교두보로 삼아야 하는 게 절실하다. 이에 각 후보들은 호남을 찾아 “호남에서 압도적인 지지가 있어야 안정적으로 정권교체를 할 수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 후보에 대한 득표율은 충분할 것으로 보고 호남권의 경선 투표율 상승에 더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대명) 구도로 치뤄지는 경선이지만, 투표 참여가 저조하면 당내 반명(반이재명) 정서가 남아있다는 뜻으로 해석돼 정권교체나 집권시 힘을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다

 

이에 민주당 소속 지역 국회의원과 광역단체장, 기초의원 등은 경선 투표율 독려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선 투표 독려 영상 2편을 만들어 유튜브에 게재했고, 문인 북구청장도 개인 SNS에 연일 투표율을 올리기 위한 게시글을 올리고 있다. 광주 지방의회 의장단도 당원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했다.

 

한편 호남권 경선 투표는 24일부터 25일까지는 ARS투표와 26일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전국 대의원 투표가 온라인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