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9.4℃
  • 맑음인천 9.7℃
  • 맑음원주 7.0℃
  • 맑음수원 7.6℃
  • 구름많음청주 10.0℃
  • 구름조금대전 8.1℃
  • 흐림포항 14.7℃
  • 흐림대구 13.1℃
  • 구름많음전주 8.6℃
  • 흐림울산 14.1℃
  • 흐림창원 14.1℃
  • 구름많음광주 9.8℃
  • 흐림부산 15.4℃
  • 흐림순천 9.7℃
  • 맑음홍성(예) 6.7℃
  • 흐림제주 13.3℃
  • 흐림김해시 14.8℃
  • 구름많음구미 10.9℃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전북권 데이터센터, 전주 탄소산단에 들어서나

민간기업, 이달 전북도에 사업계획서 제출
데이터센터 규모 40MW→10MW 대폭 ↓
카카오엔터 운영⋯"연내 투자 유치 예상"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내 전북권 데이터센터 건립이 구체화되고 있다.

 

23일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에 따르면 이달 중순께 클라우드 인프라 전문기업이 전주 탄소산단에 10㎿급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내용의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는지난 2023년 11월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북도, 전주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등이 체결한 '디지털 혁신생태계 조성 및 전북국제복합금융센터 개발 업무협약'의 일환이다.

 

협약에 따라 민간투자사는 2027년까지 전북혁신도시에 국제금융센터와 디지털혁신센터, 4성급 이상 호텔과 컨벤션센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전주 탄소산단에는 데이터센터를 짓는다고 발표했다.


전북권 데이터센터는 전북 최초의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도내 지자체와 산하기관의 공공 데이터를 한곳에 집적해 관리하는 곳이다. 운영에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참여한다.

 

협약 당시 데이터센터는 40㎿급(서버 10만 대 이상 수용 가능)으로 계획됐다. 그러나 실제 기관별 수요가 4㎿ 수준으로 조사되며 전체 규모는 10㎿급(1단계 5㎿, 2단계 ㎿)으로 대폭 축소됐다. 이에 따라 총사업비도 2800억 원에서 1300억 원 규모로 줄어들었다.

 

민간기업이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만큼 전북도와 전주시는 해당 계획을 검토한 뒤 투자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민간기업도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부지 매입 등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권 데이터센터 건립이 성사되면 전주 탄소산단 내 데이터센터는 두 곳으로 늘어난다.

 

앞서 지난달 JB금융그룹은 전주 탄소산단 내 5609㎡ 부지에 지상 5층 규모로 데이터센터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670억 원 규모다.

 

향후 JB금융그룹은 전북도·전주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한 뒤 부지 매입과 건물 신축, 시스템 이전 등을 거쳐 2028년부터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전주 탄소산단은 2019년부터 2027년까지 덕진구 여의동과 고랑동, 팔복동 일대 65만 5993㎡ 부지에 총 2436억원을 투입해 조성하고 있다. 이르면 2027년 상반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