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지역 다문화 가구의 이혼 증가율이 급증하고 있다. 혼인 증가율까지 추월하면서, 다문화 가구의 이혼율을 줄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더불어 사는 사회, 통계로 본 다문화 변화상’에 따르면 호남지역 다문화 혼인 건 수는 2023년 기준 광주, 전남, 전북, 제주 모두 전년보다 증가했다.
특히 광주 다문화 혼인 건 수는 2023년 기준 475건으로 전년(355건) 대비 33.8% 증가하면서, 전국에서 울산(43.2%)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남 다문화 혼인 건 수도 654건에서 782건으로, 19.6% 늘었다.
2023년 광주·전남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다문화 혼인이 증가한 것은 코로나 펜데믹이 소강상태에 접어들고, 지방 인구 고령화와 정부의 다문화 가구 지원책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제는 다문화 혼인이 증가한 만큼 서로 다른 성장 환경으로 인한 가치관 차이 등으로 이혼 건 수 역시 급등하고 있다는 데 있다.
2023년 광주 다문화 이혼 건 수는 206건으로 전년(144건)보다 43.1% 증가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로, 이혼 증가율이 혼인 증가율을 9.3%포인트(p) 넘어섰다. 전남의 다문화 이혼 건 수도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과거와 다르게 광주 등지에서 다문화 이혼 증가율이 혼인 증가율을 추월하고 있는 것은 다문화 가구 배우자가 한국 국적을 취득한 뒤 이혼을 거듭하는 최근 사회이슈와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부 다문화 가정의 경우 외국인 여성 배우자가 한국국적 취득 후 가정폭력 등 이유로 이혼하고, 기존 자국 출신 남자를 만나 다시 가정을 꾸리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남성과 베트남 국적 여성의 이혼 건수가 1215건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한 반면 한국 여성(대부분 전 베트남 국적 추정)과 베트남 남성의 혼인 건수도 771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이 같은 일관된 데이터가 도출되는 것은 지난 10여년간 한국 남성의 국제결혼 선호도 1위를 차지한 베트남 여성이 혼인을 통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뒤 자국민과 재혼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한국인과 혼인 후 2년 이상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혼인 후 3년이 지나고 1년 이상 국내에 주소를 두면 한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다문화 혼인 증가에 따른 지역 내 다문화 가구 수와 전체 가구에서 다문화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광주시 다문화 가구 수는 2019년 7347가구, 2021년 8095가구, 2023년 8700가구 등이며, 같은 기간 전남도 역시 1만 4069가구에서 1만 6325가구로 늘었다. 특히 광주는 최근 5년간 전체 가구 대비 다문화 가구 증가율이 18.4%로 전국(17.5%) 평균보다 높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가구 중 다문화 가구의 비중도 2023년 기준 광주와 전남이 각각 1.4%, 2.0%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호남지역 다문화 가구 비중을 시·군·구별로 보면 영암이 3.8%로 가장 높았고, 장수(3.0%), 장성·순창·진안(2.9%)이 뒤를 이었다.
광주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광산구(2.2%)의 다문화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북구(1.2%), 남구(1.1%), 서구(0.9%), 동구(0.8%)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