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 신안산선 복선전철 공사현장 붕괴사고로 1명이 실종돼 소방당국이 사흘째 수색·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이미 수년 전 지반이 불량하다는 당국의 경고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붕괴우려 신고 이후 보강작업을 펼치다가 작업자가 고립되는 상황까지 빚어진 것으로 나타나 안전불감증이 불러온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3시13분께 광명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현장 지하 30m에서 지하철 환기구 터널 공사를 벌이던 중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 사고의 경고음은 사고 당일을 비롯해 여러 차례 울렸던 것으로 확인된다.
감사원은 앞서 지난 2023년 관련 보고서를 통해 “신안산선 제5공구(시흥시청∼광명)의 경우 터널 시점으로부터 약 19㎞ 떨어진 구간에 암반이 부스러지는 등 일부 단층파쇄대가 존재해 지반 상태가 ‘매우 불량’ 상태인 5등급인데도 터널 설계에 인버트 설치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암반이 취약한 지점에서 무리한 공사가 진행됐을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다. 감사원이 언급한 ‘단층파쇄대’는 지반 침하, 붕괴를 일으킬 위험이 큰 지반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럼에도 지하를 통한 터널 공사 등이 진행돼 인버트 설계 등 각종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당시 감사원의 경고였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단층파쇄대는 지반의 좌측과 우측이 조금 어긋난 형태라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한쪽이 올라가거나 내려갈 가능성이 높은 형태다. 사고에 대한 조사가 진행돼야겠지만, 단층파쇄대가 있었다면 터널 자체가 지반 불안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사고 당일 자정 현장에서 철수한 뒤 다시 보강공사가 이뤄진 경위도 문제 소지가 있다.
터널 파손의 원인이 연약한 지반인지, 어떤 판단에서 현장 철수 후 당일 보강공사가 진행됐는지 등은 수색·구조작업이 종료된 뒤 이어질 경찰 수사를 통해 규명해야 할 지점이다.
경고음은 사고 17시간 전인 지난 10일 오후 9시50분에도 울렸다.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입수한 공사 시행사의 최초 상황보고서를 보면 아치형 구조 터널 중앙부를 떠받치는 콘크리트 기둥 여러 개가 손상됐고 이를 현장 관계자들이 윗선에 보고했다.
현장 관계자들은 근로자를 대피시킨 뒤 자정께 광명시에 이를 신고했고 이후 소방과 경찰은 붕괴 우려로 주변을 통제했다.

도로가 통제된 상황에서 다음 날인 11일 오전 7시부터 터널 보강공사 및 안전 진단 작업이 진행됐다.
하지만 작업 도중인 같은 날 오후 3시17분께 지하터널과 상부도로가 함께 무너지며 대형사고로 비화했다.
붕괴 당시 터널 안에 머물고 있던 작업자는 없었고 현장 상부 도로에 위치했던 작업자가 매몰돼 고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번 사고로 노동자 19명 중 2명이 각각 고립, 실종됐는데 실종됐던 굴착기 기사 20대 A씨는 사고 13시간여 만에 가까스로 구조됐다.
남은 1명은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50대 B씨로, 현재까지 생사 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 사고일지 참조·관련기사 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