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X와 SRT의 잇따른 패싱으로 서대전역이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과거 500여 명에 달하던 서대전역 이용객은 고속철도의 정차 배제로 급감했을뿐더러,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에서도 이렇다 할 대책 없이 허송세월하고 있어서다. 지역민 이동 편의 증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차기 대선주자들의 서대전역 활성화 공약이 필요한 시점이다.
14일 철도산업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서대전역의 여객열차 이용객(참고치)은 상·하행 포함 366만 643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3년(489만 4428명) 대비 25% 감소한 값이다.
연도별로 보면 서대전역 이용객은 2014년 498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이듬해 418만 명, 2016년 372만 명으로 꾸준히 하락했다. 2019년엔 400만 명 수준까지 회복했으나, 코로나19 유행 기간인 2020년에 247만 명으로 다시 줄어들었다.
고속열차 이용객도 마찬가지다. 같은 기간 KTX 이용객은 179만 2969명에서 125만 5466명으로 30% 줄었다.
이와 달리 같은 호남선인 광주송정역 이용객은 2013년 184만 8097명에서 지난해 549만 3870명으로 약 3배 증가했다. KTX 이용객도 126만 6888명에서 494만 6628명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서대전역의 이용객 급감엔 고속철도 패싱이 자리 잡고 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해 KTX 정차 횟수를 하루 62편에서 13편으로 줄였다. 호남선 곡선 구간으로 인해 운행 시간이 늘어 서대전역을 통과하기 어렵다는 게 당시 국토부의 입장이었다.
정부의 서대전역 외면은 KTX에 그치지 않았다. 국토부가 2023년 경전·전라·동해선의 SRT 운행을 추가한 반면, 서대전역은 SRT 정차를 배제하기도 했다.
이같이 반복된 서대전역 패싱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역 정치권과 대전시는 대응책 대신 상호 책임 공방에 집중했다. 또 22대 국회 출범 당시 지역 발전에 집중하겠다는 정치권은 서대전역 활성화에 침묵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호남권 정치권에선 철도 활성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북 익산 지역의 경우 정치권 요구로 오전 7시 8분에 익산역에서 용산역으로 향하는 KTX 열차를 오전 6시 3분으로 앞당겼다. 열차를 추가 투입하는 대신 시간을 조정했지만, 서대전역 활성화에 외면 중인 대전 지역 정치권과는 대조적이란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이 유력 대선주자들의 공약에 고속철도 증차 등 서대전역 활성화 방안을 담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대전역의 침체로 지역민들의 통행 불편은 물론, 역 주변 상권 등 원도심의 경제적 쇠퇴도 가속화되고 있어서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서대전역엔 열차가 없으니 승객이 줄어들고, 결국 상권 침체로 귀결되고 있다"라며 "말로만 원도심 활성화를 외치지 말고, 행동으로 나서야 한다. 서대전역에 열차가 많아지면 그만큼 사회적·경제적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