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고창‧정읍 산불에 이어 26일 순창과 무주에서도 산불이 발생하는 등 도내 산불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27일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3시 10분께 순창군 쌍치면, 같은 날 오후 9시 20분께 무주군 부남면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무주군 부남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27일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이 90%인 것으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무주 산불에 대해 산불 대응 2단계를 발령한 상태로, 산불 영향 구역을 85㏊로 추정하고 있다. 부남면 인근 마을 주민 221명은 산불을 피해 부남면 다목적광장 등 임시 대피소로 대피했다. 주택 1동을 포함해 시설물 피해도 2건 발생했다.

순창군 쌍치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지난 26일 오후 8시께 완전히 진화됐다고 알려졌으나 순찰하던 소방당국에 의해 27일 새벽 2시 35분께 재발화가 확인됐다. 산불은 다시 진화에 나선 소방당국과 산림당국에 의해 오전 8시 35분께 완전히 진화됐다.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임야 3㏊가 불타고 소나무 등이 다수 소실돼 소방서 추산 1억 6000만 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산림당국과 소방당국은 담뱃불 등 산림 사업장 부주의로 인한 실화라고 추정하고 있다.
앞서 지난 25일에는 고창군 성내면의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정읍시 소성면까지 확산, 임야 4㏊와 건물 28동이 불타고 인근 마을 주민 35명이 대피하기도 했다.
이렇듯 도내에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자 지자체마다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순창군은 초기 산불 발생 직후 즉시 긴급재난대응팀을 가동해 대응했다. 이후 소방서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소방차 8대, 물탱크 5대, 헬기 3대 등을 동원해 산불을 진화했다.
또 무주군은 발생 신고가 들어온 즉시 산불 현장 인근 마을 주민을 분산 대피시킨 뒤 헬기 8대와 607명의 인력을 투입해 산불을 진화 중이다. 이후 관계 기관과 협업해 산불 발생 원인 규명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관계자는 “단기적 지원을 넘어 중장기적 재정지원과 주택 복구, 정신건강 회복 프로그램도 연계할 방침이며, 산불 피해 임야에 대해서도 복구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아울러 봄철 산불 특별대책 기간 동안 산불 예방 및 감시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지역 주민과 협력해 재난 대응 역량을 키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