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4.7℃
  • 맑음서울 18.3℃
  • 맑음인천 17.8℃
  • 맑음원주 18.2℃
  • 맑음수원 16.3℃
  • 맑음청주 20.2℃
  • 맑음대전 17.6℃
  • 맑음포항 21.1℃
  • 맑음대구 18.4℃
  • 맑음전주 18.5℃
  • 구름조금울산 17.5℃
  • 구름많음창원 16.6℃
  • 맑음광주 18.5℃
  • 맑음부산 19.3℃
  • 맑음순천 10.8℃
  • 맑음홍성(예) 16.3℃
  • 맑음제주 17.8℃
  • 구름조금김해시 17.7℃
  • 맑음구미 16.7℃
기상청 제공
메뉴

(경인일보) [공간정보가 미래다·(1) 부족한 시너지 효과]잘 만들어진 공간정보도 '꿰어야 보배'

정부·공공기관 다양한 데이터 불구
민간과 '융합' 사례는 찾기 어려워
"벽 허물어야 관련산업 선도" 지적

매일 아침 출근길의 '내비게이션', 점심시간엔 '맛집 정보', 퇴근한 뒤엔 '스크린 골프' 등은 모두 GPS(위성항법장치)나 GIS(지리정보시스템) 등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일상에 활용되는 사례들이다.

과거 공간정보는 공공에서 기본적 지적 정보를 생산하면 민간이 행정 목적 등에 활용하는 수준이었으나 최근엔 4차 산업혁명으로 관련 기술·데이터가 급증해 관련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미 자율주행차·차량공유 등 공간정보 활용사업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구글·우버 등 글로벌 기업에 맞서기 위해 우리나라도 미래산업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경인일보는 현재 국내에 생산·구축되는 공간정보와 이를 유통·활용하는 플랫폼 등에 산적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편집자 주

공간정보란 지상·지하나 수상·수중 등 모든 공간에 자연·인공적으로 존재하는 물체의 위치나 현상 등을 정보화한 것을 뜻한다. 이미 우리 일상 구석구석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고 있으며 공공과 민간이 이를 활용한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공간정보 기술 시장을 처음 개척한 건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이다. 구글은 지난 2005년 '구글 어스(Google Earth)'란 위성사진 제공 서비스에 나서 처음 공간정보 기술 시장을 개척했고 GPS를 활용한 무인자동차까지 개발해 냈다.

우리나라도 정부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민간과 협업해 시청역·강남역·인천공항 등의 실내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화재 발생 시 대피·진압경로 등 다양한 수치도·지적도·3차원 지도도 마련하는 등 융복합 서비스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공공과 민간이 각각 생산·구축한 공간정보 데이터를 서로 상호 활용해 신기술이나 사업을 만드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기본 지적도와 국가공간정보포털,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3D 서비스 등 정부·공공기관이 다양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카드결제·통신데이터 등 활용 가능성이 큰 민간 데이터와 융합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정부·공공기관은 물론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의 공간정보 데이터 사이 벽을 허물어 관련산업을 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도 수많은 공간정보 데이터가 생산되지만 활용도가 큰 개별 정보와의 시너지 효과가 적다"며 "국가나 관련 공공기관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아 산재한 공간정보를 모아 활용해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