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화성 축성 220년’ 연중 잔치 오페라·달빛동행·갈비축제등 ‘풍성’ 서울 창덕궁~화성행궁 능행차 재연 ‘백미’ 수원시가 화성 축성 220주년이 되는 2016년을 ‘수원화성 방문의 해’로 정하고 4대문을 활짝 열어 관광 수원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풍성한 잔칫상을 차린다. 12일 수원시에 따르면 ‘살아있는 역사, 함께 하는 문화 수원화성 2016’을 슬로건으로 정조대왕 능행차를 서울 창덕궁과 수원화성을 연계해 재현하는 등 ‘수원화성 방문의 해’ 이벤트를 연중 이어간다. 1월 수원화성을 관광특구로 지정하고 이를 축하하는 개막식과 함께 국제 자매도시가 참여하는 관광심포지엄 등 개막주간 행사가 수원화성 방문의 해의 성대한 막을 올린다. 4월 화성행궁 광장에서 수원화성 축성 220주년을 기념하는 KBS 열린음악회가 열리고, 5월 ‘2016 아시아 모델 페스티벌 in 수원’에서 아시아 톱 모델들이 수원의 관광 포인트를 배경으로 아름다움을 겨룬다. 6월에는 수원 월드컵경기장에서 국내 정상급 가수들이 출연하는 ‘K-POP 슈퍼콘서트’, 8월에는 화성 행궁광장에서 창작오페라 ‘시집가는 날’을 공연한다. 9월 전국 기초자치단체와 자매도시, 더함시(더불어
‘월동준비’ 살·기름 꽉찬 7㎏ ‘대물’ 쫄깃·감칠맛 모슬포서 맨손으로 방어잡기·선상낚시 ‘추억’ 고소하고 짭조름한 ‘밥도둑’ 추자도 입소문 굴비엮기·지인망 고기잡이·해상유람은 ‘덤’ 전세계 250여종중 ‘비타민 C 창고’ 최고 품질 15國 참여 박람회 전시·시식 ‘감귤의 모든것’ 가을이 깊어갈수록 감귤은 노랗게 익어가고 제주의 가을 바다는 황금어장이 된다. 동중국해에서 머물던 참굴비(참조기)는 산란을 위해 추자도 바다로 찾아온다. 찬바람이 불면서 방어는 따뜻한 물을 찾아 마라도 해역으로 몰려온다. 11월 제주에서는 제 철, 제 맛을 즐길 수 있는 산해진미의 고장으로 변신한다. 이와 함께 제주산 명품을 알리는 특산물전도 열린다. #싱싱한 방어 맛보세요 방어는 길이가 1m 이상, 무게는 7㎏가 넘는 ‘대물’이다.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에서 남으로 회유하는데 마라도 바다에서 마지막으로 머문다. 월동하기 위해 자리돔을 먹으며 지방을 축적하고 몸을 살찌운다. 마라도 주변 조류가 센 탓에 근육까지 탱탱해진다. 살과 기름이 꽉 찬 방어는 참치 뱃살에 견줄만한 육질과 씹는 감칠맛이 풍부해 제주 바다의 별미로 꼽힌다. 우리나라 최남단 어업기지인 서귀포시 대
포항서 내달 21·22 이틀간 펼쳐져 ‘쫄깃 고소한 맛’ 시식행사 풍성 ‘미각충족’ 경매쇼·소원물고기 매달기등 즐길거리 눈길… 문어등 특산물 싼값 구입기회 “11월 21, 22일 포항 구룡포로 과메기 맛보러 오세요.” 아침·저녁으로 찬바람이 부는 늦가을 먹거리를 찾아 떠나보는 여행은 어떨까. 가을 축제들이 다 끝나고 겨울 초입에 열리는 맛축제, 겨울 과메기는 동해안 지역의 별미다. 과메기는 청어를 부드럽고 쫄깃한 육질의 상태로 말린 것. 배우 신현준 주연의 영화 ‘맨발의 기봉이’ 버전을 흉내내면, “상추에 김 하나 얹고, 과메기 두개 얹고, 생미역 얹고, 쪽파 다섯개 얹고, 마늘·고추 넣고, 초장을 떠서 넣고, 그리고 한입에 쏘~옥~. 아~ 이~, 맛있고!” #18회째 과메기 축제 포항 구룡포과메기사업협동조합(이사장·김점돌)이 주최하고, 매일신문사가 주관하는 ‘제18회 구룡포 과메기 특산물 축제’는 11월 21, 22일 과메기 문화거리의 아라광장 특설무대에서 열린다. 올해 축제의 가장 큰 특징은 ‘구룡포, 맛으로 알리다’라는 모토로 시식 프로그램을 늘려, 보다 많은 사람들이 쫄깃하고 고소한 과메기를 맛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문화공연
창원 마산항 제1부두서 30일부터 열흘간 활짝 국화 10만여점, 국내 단일품종 ‘최대축제’ 명성 1년여간 공들여 준비 한줄기에 꽃 ‘1515 송이’ 기네스기록 오른 ‘다륜대작’ 경신 도전 ‘주목’ 음악회·서커스·할로윈 무도회등 흥겨움 더해 마산 국화의 아름다운 향기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국내 단일품종 최대 꽃 축제인 ‘제15회 마산가고파국화축제’가 오는 29일 오후 6시 30분 개막식을 시작으로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10일간 경남 창원시 합포구 마산항 제1부두에서 열린다. 창원은 1960년부터 국화 상업재배 시배지로 현재 전국 재배면적 13%를 차지하고 있다. 창원 국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홍보하고 소비 촉진을 위해 2000년부터 개최된 국화축제는 이번에 ‘바다 품은 오색국화 빛나는 창원’을 슬로건으로 콘서트, 멀티미디어 불꽃쇼 등 다양한 볼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주전시장-‘갈매기의 꿈’이 반긴다 국화축제 주전시장에는 10만여 점의 국화로 만든 300여 개의 국화 모형작이 있는 ‘주제존’, ‘국화마루’, ‘동심마을’, ‘국화미로 정원’, 소망기원탑 등 국화축제행사장에 11개의 테마로 스토리텔링해 전시한다. 국화축제장 입구에서 괭
산꾼들 알음알음 다니던 출입통제구역 탐방로로 열려 은수고개 넘으면 원효봉~화엄벌 타고 넘는 ‘은빛물결’ 맑은날엔 부산·봉래산에 멀리 대마도까지… ‘눈 호사’ 경남 양산 천성산(920.2m) 정상을 원효봉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출입통제된 이곳은 지난 2월 지정된 탐방로에 한해 전격적으로 개방됐다. 그럼에도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까닭에 지역 산꾼들만이 알음알음 다녀오고 있다. 산&길은 정상 개방과 함께 가을 억새 산행으로, 내원사∼은수고개∼천성산∼화엄벌∼내원사 순의 원점 회귀 코스를 설계했다. 진작 오를 수도 있었지만 일부러 가을을 기다렸다. 기다린 보람은 컸다. 은수고개에서 원효봉, 화엄벌을 타고 넘는 억새 물결은 아름다웠다. 게다가 올가을은 유난히 더 청명해 주변 산군과 부산·울산 시내는 물론이고, 멀리 지리산과 대마도까지 시야에 들어왔다. 참고로, 내원사에서 은수고개까지 3㎞가량은 과거 된비알로 알려졌지만, 지금은 덱 계단이 잘 조성돼 그렇게 난코스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물론 은수고개에 닿았다면 그 다음부터는 황홀경을 즐기는 일만 남았으니 덱 계단이 설령 조금 힘들다고 하더라도 보상을 생각하면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듯하다. 건강한
대전시민천문대 ‘별천지’ 구경 인재 요람 KAIST ‘교육 탐방’ 대전 과학의 메카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첨단과학기술의 산실일뿐만 아니라 미래의 과학도들이 생생한 과학교육을 받을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지니고 있다. 자녀와 함께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을 찾는 가족단위 관람객이라면 축제 현장 외에도 놓치지 말아야 할 과학 명소들이 있다. 엑스포과학공원 맞은편에 자리잡은 국립중앙과학관은 국내 기초과학과 첨단과학, 기술사, 자연사 등을 전시하고 있는 과학교육 및 체험의 산실이다. 상설전시관과 창의나래관을 비롯해 국내 최대의 25m 돔 천체관 등으로 구성돼 과학기술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모두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 최초로 과학기술 연구중심대학으로 설립된 KAIST 캠퍼스는 국립중앙과학관과 차로 5분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전국의 과학기술 우수 인재들이 모여 있는 만큼 캠퍼스 내에는 연구와 교육, 첨단기술 관련 창업 등에 매진하는 미래 과학도들의 열기로 뜨겁다. KAIST 견학은 사전예약으로 운영되는데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인재 양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준다. 평일에는 중학생 이상 공교육 기관과 교육청 복지기관 등 비영리 기관만 신청이 가능하다.
웨어러블기기·3D프린팅·로봇·드론… 직접 보고 만지고 ‘첨단기술 체험의 장’ 각종 실험·스포츠교실… 학생행사 다양 ‘예술+과학’ 매직쇼·퍼포먼스 이색공연 69國 장관급·석학 초청 ‘과학회의’ 방점 과학과 문화의 융합을 통해 미래 과학의 발전상을 엿볼 수 있는 ‘2015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이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대전 원도심에서 개최된다. ‘과학과 문화의 융합! 미래를 엿보다’를 주제로 초·중학생뿐 아니라 대학생, 성인 등 누구나 보고 즐길 수 있는 각종 체험·문화예술 행사와 세계 석학 초청 강연 등 다채로운 행사로 꾸며질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을 미리 살펴봤다. ■ 과학의 미래 엿보는 축제의 장 엑스포 시민광장에서는 문화, 예술, 생활 등 우리 삶에 스며들어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과학기술이 우리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엿보는 체험의 장이 조성된다. 시민광장에 3천200㎡ 규모의 대형 TFS텐트로 조성되는 주제전시관에는 빛의 혁명 등을 전시한 주제관과 웨어러블(wearable)기기부터 3D프린팅체험까지 신기한 ICT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ICT체험존, 대덕연구개발특구 연구기관과 중소·벤처기업의 우수한
자연·기술 신·구 ‘대나무의 모든것’ 31일까지 담양서 세계박람회 손짓 국내외 죽세품 전시 족욕체험 풍성 대잎 식혜·엿 이색 먹을거리 ‘군침’ 포크·클래식·국악 음악공연 ‘들썩’ 죽녹원·소쇄원 조용한 산책 ‘힐링’ 촉촉하게 내린 가을비로 한낮의 뜨거운 열기가 가셨다. 나들이하기에 좋은 날씨, 떠나자. 대나무의 낭만을 찾아 담양으로 걸음을 하자. 담양에서는 ‘대숲에서 찾은 녹색 미래’를 테마로 2015 담양 세계대나무박람회가 한창이다. 오는 31일까지 계속될 박람회에는 자연과 기술, 옛것과 현재가 어우러져 있다. 대숲의 속삭임을 듣고, 대나무의 풍미를 맛보고, 대나무의 속살을 만지면서 오감(五感)이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다. 대나무골로 향하는 길. 자동차를 이용하는 경우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46의1(대나무박람회 제 1주차장)을 찾으면 된다. 관람객들의 편의를 위해 광주 송정역과 박람회장을 오가는 셔틀버스도 준비했다. (문의: http://www.damyangbamboo2015.kr, 061-380-2500) 자 이제 대나무 세상으로 들어가 보자. 관방제림을 지나 중문으로 입장해 박람회 나들이를 시작한다. 아기자기한 산책길에 상큼한 음악이 흐
■전주세계소리축제 내달 7~11일 ‘판소리 + 카니발’ 신선한 실험 무대 쟌느 쉐랄등 유명 음악인 관객 손짓 ■순창장류축제 내달 29~11월 1일 비빔밥·떡볶이 요리참여프로 ‘푸짐’ 최상 품질 장류 저렴한 구입 기회도 ■김제지평선축제 내달 7~11일 벼베기·그네뛰기·횃불 퍼레이드… 옛 농경문화체험 70가지 행사 ‘눈길’ 흔히 가을은 고독의 계절로 일컬어진다. 서늘한 공기 속에서 낙엽지는 길을 걷다보면 마음이 어느새 차분히 가라앉게 만든다. 숨 가쁘게 달려왔던 여름을 돌아보며 홀로 자신의 모습을 살피는 시기라 할 만 하다. 하지만 가을은 본래 한 해의 수확물을 서로 나누며 함께 즐거움을 느끼는 떠들썩함이 있는 계절이기도 하다. 부드러운 햇볕과 선선한 바람. 여행을 떠나고 사람을 만나 웃음을 나누기에 이 만큼 좋은 계절이 또 있을까. 올 가을 함께 하고 싶은 사람과 찾을 만한 전라북도의 축제를 소개한다. # 2015 전주세계소리축제 올해 14회째를 맞은 ‘2015 전주세계소리축제’가 10월 7일(수)부터 11일(일)까지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주 한옥마을 일대에서 열린다. 5일간의 소리축제에서는 ‘소리 Big Party’라는 주제로 ‘우리음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