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순천 17.8℃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김해시 19.6℃
  • 맑음구미 20.0℃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공약 남발 피로감…6·3 조기대선 충청 정치력 시험대

이재명·김문수·이준석, '세종 행정수도 완성' 공약 경쟁…표심몰이 의구심도
차기 정권서 '단일 로드맵' 재구성 필요…"중장기적인 공약 관리에 힘 모아야"

6·3 조기대선이 다가오면서 충청권이 다시금 정치력 시험대에 올랐다. 대권 주자들이 지역 표심을 잡기 위한 맞춤형 공약을 경쟁적으로 쏟아내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과 함께 지역민들의 피로감도 누적되고 있다.

 

반복된 공약 남발을 넘어 실질적 이행을 이끌어내기 위한 지역 정·관가의 조직적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번 대선에선 주요 후보들이 충청권 핵심 의제인 '세종 행정수도 완성'을 저마다의 방식으로 내세우며 '공약 경쟁' 구도가 형성된 점이 주목된다. 조기대선 전부터 용산 대통령실과 청와대의 대안으로 '대통령 세종 집무실'이 부각되면서 후보들이 하나같이 '행정수도'를 전면에 내세운 것이다. 충청권 의제를 일정 수준 이상 반영하지 않고는 이번 대선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대전 지역과 직결된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확대와 함께 '세종 행정수도 완성'을 공약집에 명시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충청판인 'CTX'를 구축하겠다고 공언했고, 국회와 대통령 제2집무실 이전 역시 공약에 담았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KTX·대전 1호선 연장에 더해 대통령 집무실·국회 이전을 통한 행정수도 완성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도가 지역 발전의 기회로 작용할지, 일시적 표심몰이용 경쟁에 그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민주당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제2중앙경찰학교 아산·남원 중복 유치 등 최근 불거진 '양다리 공약' 논란은 지역민의 냉소를 키우고 있다. 단기간에 발표된 각종 지역 공약이 표심용 '말잔치'는 아닌지 되묻게 한다는 지적이다.

 

최호택 배재대 행정학과 교수는 "지역 공약은 유권자와의 접점을 만드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남발될 경우 지역 간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 등과 같이 충돌 가능성이 있는 사안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선은 대선답게 국가의 큰 그림을 그리는 공약들을 넣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 정치권 안팎에선 차기 정권 출범 이후 행정수도 공약의 조율과 연계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후보별로 제시된 공약을 '단일 로드맵'으로 재구성하고, 국정 과제 반영을 통해 정권 초기부터 이행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이를 위해 충청권 단체장·국회의원·지방의회가 관리 주체로서 초당적으로 움직여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충청권 핵심 공약으로 제시된 행정수도 완성, 광역교통망 구축 등은 정치적 수단이 아닌, 국가 미래 전략의 일부로 다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인 공약 관리 체계 구축도 함께 요구된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이번 대선은 충청권이 결정은 하지만 주도하지 못했던 한계를 넘어, 국정 의제 형성에서 실질적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라며 "공약 발표보다 중요한 건 이행을 이끌어낼 정치력이며, 선거 이후부터가 오히려 시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