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결국 오고 말았다. 25%라는 높은 관세율을 받은 한국은 곧바로 수치가 26%로 조정되는 등 수출 산업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이날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마저 발효되면서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자동차 산업은 물론 대구 지역 자동차부품 산업도 거친 파고를 맞게 됐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개최하고 국가별 상호관세 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통상 전쟁을 선포했다.
그는 60여 개국을 이른바 '최악의 침해국'(worst offenders)으로 분류, 기본 관세 10%에다 국가별 개별 관세를 추가한 고율의 상호관세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25%의 상호관세를 맞게 됐다. 그러나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서는 한국에 대한 관세율이 26%로 표기됐다.
한국은 상호관세로 인해 철강과 자동차에 이어 주요 수출 품목 전반이 고율 관세의 직격탄을 맞으며 글로벌 공급망 내 입지가 흔들릴 위기에 놓였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1천278억달러로 전년 대비 10.4% 증가했고, 무역수지 흑자는 557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반도체, 석유제품, 배터리 등으로, 이번 조치가 한국 수출 구조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미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약 25%를 차지하는 최대 품목으로, 25% 이상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미국 내 판매 가격은 평균 2천달러 이상 상승하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조치는 사실상 한미 FTA의 근간을 흔드는 결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정면으로 대응해야 할 중대한 통상 사안으로 규정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를 중심으로 고위급 대미 협의 채널을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전체 자동차부품 수출 가운데 대미 수출이 1위인 대구도 이번 상호관세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오윤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단장은 "지역의 자동차부품사 중에서도 규모가 작은 곳의 피해가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자동차 관련 기관들과 지자체 및 정부기관에 중소 부품기업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