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대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삼의체전 전경. [제주국제대 제공]](http://www.lpk.kr/data/photos/20250313/art_17427760473039_d6a902.jpg)
올해 신입생 11명이 입학한 제주국제대학교가 폐교 위기에 놓였다.
대학 폐교에 앞서 재학생들의 타 대학 편·입학과 교직원 60명에 대한 체불임금 350억원 해결이 선결 과제로 떠올랐다.
23일 사립대학 관리·감독 기관인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제주국제대는 금주 중에 임시이사에서 정이사(8명) 체제의 이사회가 구성돼 대학의 존폐 여부를 결정한다.
정이사 체제는 대학 재정과 재산 처분 의결권이 주어진다. 제주도에 따르면 정이사 체제 이사회에서 자진 폐교를 결정하면 교직원 체불임금 350억원 해결 방안으로 대학 재산을 국가 시설로 기부채납하거나 건물과 부동산을 제3자에게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한 재학생 267명과 대학원생 195명은 특별 편·입학이 시행된다. 제주대·제주한라대·제주관광대에 동일·유사한 학과로 편·입학을 유도해 학생들을 보호하고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그런데 타 지역 사례에서 폐교 재적생 수용과 관련, 일부 종합대학은 특별 편입을 거절한 바 있다.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지난 21일 436회 임시회에서 이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제주국제대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호형 행정자치위원장(제주시 일도2동)과 이경심 의원(비례대표)은 “1973년 개교한 제주국제대는 52년의 역사를 간직했고 4만50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명문 사학인데, 지금은 풍전등화에 놓였다”며 “대학 폐교는 동문과 학생은 물론 지역사회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대학 구성원의 피해가 최소화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송창권 의원(더불어민주당·외도·도두·이호동)은 “제주국제대 부설유치원은 220명의 원아와 29명의 교직원이 있을 정도로 운영이 잘 되고 있는데, 대학 폐교 시 유치원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명동 도 기획조정실장은 “제주국제대 정상화 방안으로 금주 중에 정이사 체제를 구성한 후 교직원 체불임금 해결과 자진 폐교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며 “다만, 대학 자산 매각은 규모가 커서 많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며, 학생들은 편·입학을 통해 신분을 보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제주국제대를 운영하는 동원교육학원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학교 폐쇄 말고는 대안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국제대는 전 이사장 A씨가 지난 2000년 185억원대 교비 횡령 사태로 경영과 대학 운영이 악화됐다.
동원교육학원은 2016년 옛 탐라대 부지와 건물을 415억9500만원에 제주도에 매각했음에도, 보조금 비리와 학자금 대출 제한, 경영 악화, 신입생 감소 등 악순환이 지속됐다.
신입생은 지난해 36명에 이어 올해는 11명에 불과했고, 입학 후에는 자퇴하는 학생들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