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30.4℃
  • 구름많음서울 30.5℃
  • 구름많음인천 26.5℃
  • 구름조금원주 30.5℃
  • 구름조금수원 29.0℃
  • 구름많음청주 29.8℃
  • 구름많음대전 31.3℃
  • 구름조금포항 32.7℃
  • 구름많음대구 31.8℃
  • 구름많음전주 30.6℃
  • 구름많음울산 31.8℃
  • 구름많음창원 31.4℃
  • 구름조금광주 31.5℃
  • 흐림부산 30.2℃
  • 구름조금순천 29.7℃
  • 구름조금홍성(예) 28.8℃
  • 구름많음제주 26.9℃
  • 구름많음김해시 30.6℃
  • 구름많음구미 32.5℃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농특산품 판매 확대로 농도 전북 위상 살리자] (상) 갈수록 척박해지는 전북농촌 환경

농가소득 감소와 인구소멸로 농도 전북위상 흔들

농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며 성장해온 농도 전북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전북의 농가소득이 최근 5000만 원을 넘어섰다지만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각해 실제 농촌 현장의 현실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농작물 판매 수입 등 순수 농업소득도 급감하면서 농업인구 또한 크게 감소하고 있다.

농촌의 젊은이들이 희망을 잃고 고향을 떠나고 있고 전북 인구소멸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농도의 자존심을 살리고 농생명 특화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역 농특산물 판매 확대를 통해 농촌소득 향상과 돌아오는 농촌환경을 조성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전북일보는 두 차례에 걸쳐 전북농촌의 현실을 진단하고 농특산물 판매확대를 위한 노력과 성과를 점검한다. 또 농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전북농협과 함께 지역농축산 수협의 지역특산품 판매 확대를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

"농가소득이 5000만 원을 넘어 웬만한 도시근로자 보다 낫다고요? 그건 일부 고소득을 올리는 부농들의 경우이고 현실과는 맞지 않습니다."

최근 전북의 농가소득이 5000만 원이 넘었다는 발표가 있었지만 실제 농가에서는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 

축산과 밭∙논농사를 병행하는 부농의 경우 연간 수억 원의 수익을 올리는 경우도 많지만 36%가 넘는 1인 농가 소득이 반영되지 않았고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농촌환경에서 농업인들이 체감하는 실제 소득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상기후와 함께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이스라엘-이란 사태, 중국-미국 패권경쟁 등의 국제 분쟁은 농산물 가격 변동성을 증가시키고 있고, 원가∙인건비 상승과 인력난에 따른 경영비 증가, 농가소득 불안정성 확대 등의 대내외적인 악순환이 지속되면서 농촌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전북은 조선시대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농도(農道)’로 불려왔지만 갈수록 그 위상이 쪼그라들고 있다.

통계청이 매년 공시하는 농가경제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전북에서 농작물 판매 수입 등 농업경영의 결과로 얻은 순수 농업소득은 824만 9000원 뿐이다. 전년 1435만 원보다도 42.5%나 감소했다. 연간 총소득이 1000만 원 미만인 영세농도 전체의 62%를 차지하면서 대부분의 농가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소득이 감소하면서 농가 인구도 크게 줄었다.

2020년 기준 전북 농가는 9만 3000가구, 농가 인구는 19만 9000명으로 1970년 28만 2000가구, 165만 8000명에 비해 18만 8000가구(66.9%), 145만 9000명(88.0%)이 감소했다.

농업이 지역을 대표하는 전략산업인데도 현실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북농협이 전북도와 함께 농도의 위상을 높이고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로서의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돌입해 그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