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27.2℃
  • 구름많음서울 24.4℃
  • 구름많음인천 20.5℃
  • 맑음원주 24.2℃
  • 구름많음수원 23.5℃
  • 맑음청주 25.0℃
  • 구름조금대전 24.7℃
  • 구름조금포항 26.2℃
  • 맑음대구 27.1℃
  • 구름조금전주 25.1℃
  • 구름조금울산 25.1℃
  • 구름많음창원 25.3℃
  • 구름많음광주 24.7℃
  • 구름조금부산 21.9℃
  • 구름많음순천 24.4℃
  • 맑음홍성(예) 22.8℃
  • 구름많음제주 23.3℃
  • 구름조금김해시 24.8℃
  • 구름조금구미 25.8℃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광복 76주년…전북 독립운동가 서훈 필요

서훈 독립유공자 1077명 지역 독립운동 규모 비해 적어
전북 자치단체, 광북회 전북지부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1945년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나 독립한 지 76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러나 조선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전북의 수많은 독립군과 의병이 여전히 서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일제의 침략에 저항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는 재판기록이 있는 인물들도 마찬가지다. 전북지역 자치단체와 민간단체, 역사 연구자가 서훈대상자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서훈 독립유공자 1077명…전북 독립운동 규모 비해 적어

 

 

 

12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의 독립유공자 출신지역별 현황에 따르면, 전북에서 올해까지 서훈을 받은 독립유공자는 1077명이다. 지역별로 서울·수도권과 전국 8도, 북한의 평안도·황해도·함경도까지 살펴봤을 때, 경상북도(2292명), 충청남도(1480명), 경기도(1401명), 경상남도(1352명), 전라남도(1295명) 다음 순이다.

그러나 전북에서 벌어진 독립운동 규모와 전개양상에 비해 서훈자수가 적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19년 국제연맹에 보고하기 위해 조사 편찬한 자료인 ‘한일관계사료집’의 통계수치를 보면, 전북 등 호남지역의 독립운동 참여인원은 대략 27만에 달한다. 경기도, 평안도에 이어 3번째 규모다.

국가보훈처 연구원 출신인 천지명 동국대 학술연구교수는 “전북 지역에서 서훈대상 발굴은 다른 지역보다 활발히 진행되지 못했다”며 “과거에 조선총독부의 ‘조선소요사건 경과표’자료에 따라 ‘남한대토벌’이후 전북지역 독립운동이 위축됐다는 분석이 주류를 이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일관계사료집’을 분석하면 전북지역 독립운동 참여도가 상당히 적극성을 띄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전북 서훈대상 발굴 여전히 소극적

30여년 간 서훈대상 발굴 작업을 해 온 이태룡 인천대 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은 “여전히 전북 지역 국립대학이나 연구기관, 자치단체 등은 서훈대상자 발굴 및 의뢰에 소극적”이라며 “다른 지역과 많이 비교된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인천대독립운동사연구소가 최근 3년(2019~2021)간 전북 독립운동가와 의병 400여명을 발굴해 국가보훈처에 서훈을 신청했다. 서훈여부에 대한 결과는 수 년에 걸쳐서 나올 예정이다.

이 소장은 “지난 2019년에 신청했던 결과가 올해 통보된다”고 “결과발표가 늦은 이유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훈대상자의 광복 이후 행적까지 상세하게 검토한다”며 “범죄를 저지르거나 사상범으로 활동해 징역을 살았던 사람은 포상을 받지 못한다”고 부연했다.

 
서훈대상자 발굴, 검증인원 증가 과제

전북 자치단체, 광복회 전북지부 등의 단체가 서훈대상자를 발굴하는 작업을 활발히 벌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가보훈처가 지난 2018년부터 독립유공자 서훈 심사기준을 완화했기 때문이다. 당시 보훈처는 수형·옥고 기준인 3개월, 태형 90대 등이 기록을 폐지하고, 관련인사의 일기와 회고록 등도 증거로 인정하기로 했다.

천 교수는 “기준 완화로 서훈을 받기 수월해진 측면이 있다”며“전북 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를 활발히 벌이면서, 서훈 대상자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훈 보상에 대한 속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보훈처의 연구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서훈대상을 검토하는 연구원은 25명 내외다.

이 소장은 “공훈발굴과에서 일하는 연구원이 적다보니 밀려드는 포상신청 서류를 정리하는 데도 버거워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과’를 ‘국’으로 승격하고 인원도 지금보다 3배 가량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세희 saehee0127@jja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