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4.0℃
  • 맑음서울 17.2℃
  • 맑음인천 17.2℃
  • 맑음원주 16.9℃
  • 맑음수원 15.2℃
  • 맑음청주 19.0℃
  • 맑음대전 16.2℃
  • 맑음포항 19.8℃
  • 맑음대구 16.6℃
  • 맑음전주 17.4℃
  • 맑음울산 15.5℃
  • 맑음창원 15.0℃
  • 맑음광주 17.2℃
  • 구름조금부산 17.6℃
  • 맑음순천 9.0℃
  • 맑음홍성(예) 15.2℃
  • 맑음제주 17.6℃
  • 구름조금김해시 16.3℃
  • 맑음구미 16.3℃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부산 ‘산업폐기물 대란’ 일촉즉발

 

 

부산의 유일한 민간 산업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용 종료가 4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새로운 폐기물 처리시설 건립이 이미 ‘골든 타임’을 넘겼다. 새로운 시설 건립은 엄격한 인·허가, 주민 민원 등으로 최소 5년 넘게 걸리기 때문이다.

 

지역 기업 상당수는 벌써부터 추가 비용을 물며 수백km 떨어진 경북이나 전남, 충청도로 폐기물을 옮겨 처리하고 있다. 폐기물 처리 부담이 부산을 ‘기업하기 나쁜 도시’로 전락시키고 있는 셈이다.

 

유일한 산폐장 4년 뒤 운용 종료

2년 새 매립 용량 절반으로 줄어

새 시설 건립도 최소 5년은 걸려

기업들 경북·충청도로 보내 처리

비용 부담으로 경쟁력 악화 ‘원성’

 

6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 내 각종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폐기물은 2019년 기준으로 하루 4000t을 넘어섰다. 2017년에 3250t, 2018년 3165t 수준이다 2019년 들어 크게 증가했고 아직 통계는 나오지 않았으나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이후로는 증가세가 더 가팔라진 것으로 예상된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폐기물 배출량 증가세가 가속화한다는 점이다. 부산에는 연간 44만t의 폐기물이 나오고 있으나 추가로 조성 중인 산업단지가 12곳, 조성 계획이 서 있는 산업단지가 7곳이 있어 향후 연간 70만t까지 발생량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부산의 민간 폐기물 처리시설은 강서구에 있는 부산그린파워 1곳뿐이다. 동부산권에도 부산 기장군에 NC부산이라는 처리시설이 있었지만 2019년 3월 운영이 종료됐다. 지금은 부산그린파워 1곳에서 연간 27만t을 처리하고 있는데 2025년이면 사업 종료가 될 처지다. 공식 통계상 2019년 기준 이 업체의 잔여 매립용량은 240만t 수준이었으나 최근에는 120만t까지 내려앉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만간 부산은 폐기물 처리시설이 단 1곳도 없는 도시가 될 처지다. 2014~2015년 전후부터 지역 내 폐기물 처리시설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면서도 대책 수립을 미뤄 오다 결국 ‘폐기물 대란’을 맞닥뜨린 것이다. 미음산단, 부산과학일반산단, 국제산업물류1단계, 명례일반산단 등 최근 부산에 조성된 산단들은 법적으로 폐기물 매립 시설을 설치해야 하는데도 경제성 부족이나 민원을 이유로 설치를 미루고 있다.

 

지역 산업계에서는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 달라고 아우성이다. 부산이나 울산 등 인근 지역에서는 폐기물 처리 비용 부담이 더 크기 때문에 지역 기업 경쟁력 악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부산의 한 철강업체 관계자는 “부산 인근에서 오니나 슬러지 등 처리 비용이 비싼 폐기물을 처리하려면 t당 40만 원 안팎까지 든다”며 “어쩔 수 없이 공장 내부에 모아 뒀다 처리하는데 환경 오염 등 또 다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기업들은 처리 비용이 싼 곳을 찾아 경북 고령이나 전남 여수까지 가서 폐기물을 처리한다. 타 지역 시설 역시 처리 비용을 점점 올리고 있어 수년 내 이마저도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산업계에서도 대책 마련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2년 전과 비교해 4배가량 처리 비용이 인상됐고 기업들은 폐기물 처리를 위해 타지역까지 찾아가야 하는 실정”이라며 “향후 조성되는 산단 규모까지 감안하면 부산시가 더는 지체하지 말고 전향적으로 관련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정상적인 기업 활동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폐기물 처리시설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이익공유제, 친환경 공법 도입 등 해당 지역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한 기자 kim0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