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0.5℃
  • 맑음서울 27.4℃
  • 맑음인천 24.1℃
  • 맑음원주 27.9℃
  • 맑음수원 26.6℃
  • 맑음청주 29.2℃
  • 맑음대전 28.9℃
  • 맑음포항 25.1℃
  • 맑음대구 31.3℃
  • 맑음전주 27.1℃
  • 맑음울산 24.0℃
  • 맑음창원 28.1℃
  • 맑음광주 29.3℃
  • 맑음부산 24.7℃
  • 맑음순천 28.5℃
  • 맑음홍성(예) 27.1℃
  • 맑음제주 22.0℃
  • 맑음김해시 26.6℃
  • 맑음구미 30.6℃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AI 감염경로 오락가락…쑥대밭 된 전남 오리농가 발만 동동

농축산검역본부 ‘오염된 왕겨’ 의견 냈다가 “공식 입장 아니다” 말바꿔
방역당국이 혼선 불러…농가들 “역학조사·방역작업 하기는 하나” 분통

 

국내 최대 오리사육지 전남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뚫려 쑥대밭이 되고 있지만 가축 방역기관인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농가 유입 경로를 아직까지도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4일 첫 확진 농장 발생 이후 10여 일이 지나서야 “농장에 왕겨를 살포하는 과정에서 농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가 “공식 답변이 아니다. 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말을 바꾸면서 되레 혼선을 부추기는 모습이다.

16일 전남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 소속기관이자 가축 방역 중앙행정기관인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최근 전남지역 오리농장을 휩쓸고 있는 AI 농가 유입 경로에 대해 “왕겨 살포 과정에서 농장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입장을 이날 내놨다.
 

바이러스의 농가 유입 경로에 관한 입장은 박봉균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방역 화상 회의에서 밝혔다고 전남도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 본부장이 역학조사관을 대동하고 AI 발생 농장 6곳을 직접 살핀 뒤 “왕겨가 문제가 됐을 확률이 가장 크다”고 언급했다는 것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검역본부장과 역학조사관들이 오리 농가 왕겨 창고, 별도 공간에 마련된 왕겨 보관 창고 관리가 소홀한 부분을 발견하고 왕겨로 특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AI에 걸린 야생조류가 왕겨 보관창고에 들어갔거나 왕겨에 철새 분변이 묻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다만 관련 사진 등 증거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그러나 광주일보가 더불어민주당 김승남(고흥·보성·장흥·강진, 전남도당위원장) 의원을 통해 ‘전남지역 농가 AI 유입 경로’에 대해 질의하자,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역학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왕겨 살포 과정에서 농가로 유입된 게 유력하다’는 추정에 대해서는 “(저희 기관) 공식 답변이 아니다. 조사관 개인 의견으로 봐달라”고 기존 입장을 바꿨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최초 감염원이 (AI에 걸린) 야생 조류에 의한 것은 맞지만 조사가 더 필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명쾌한 설명을 내놓지 못하기는 전남도도 마찬가지다. 전남도 관계자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가축 방역 관련 인력, 권한, 경험 등에서 월등해 전남도로서는 믿고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가축 방역기관이 AI 농가 유입에 관해 오락가락하면서 부담은 농가에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유입 경로가 특정되면 그에 맞게 적절한 방역 활동을 하고 발생 가능성 또한 낮출 수 있지만, 조기 특정이 안 될 경우 방역 범위를 넓히고 농가의 행동 제약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남에서는 지난 4일 영암군 시종면 육용오리 농장에서 첫 고병원성 AI가 발생했다. 이후 지난 7일 나주시 세지면 육용오리 농장, 9일 나주시 동강면 육용오리 농장, 10일 장성군 삼계면 종오리 농장, 11일 영암군 덕진면 육용오리 농장 2곳에서 확진 사례가 잇따랐다. 이 기간 살처분된 닭과 오리는 160만 수를 웃돈다.

전남에선 오리 사육 농가 236곳에서 402만여 수를 사육 중이다. 전국 900여만 수 대비 44.7%다. 단 3농가를 제외한 200농가(367만 수)가 다솔, 제이디팜, 사조원 등 계열사와 계약을 맺고 사육 중이다. 시·군별로는 나주시 61개 농가 105만 수, 영암군 38개 농가 71만 수, 장흥군 17개 농가 26만 수 등이다. 닭은 401농가에서 2571만 수를 사육한다. 전국 1억9400만 수 대비 11%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