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오는 20일부터 완주군 삼봉지구에 마련된 임시 숙소에서 거주하며 직접 군민들과 만나 통합 논의에 나선다. 도정의 최대 현안인 완주·전주 통합과 관련해 군민 여론을 폭넓게 듣겠다는 취지다.
19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오는 20일 완주군 삼봉지구 한 아파트로 홀로 이사를 마치고, 21일부터 도청으로 출퇴근하며 일과 전후 시간대에 주민과의 접촉면을 넓혀갈 방침이다. 계약기간은 6개월이며, 전용면적 105㎡(약 32평) 규모다. 주소지도 완주로 이전해 공식적인 ‘완주군민’ 신분으로 머무를 예정이다.
김 지사가 거처로 삼봉지구를 택한 이유는 이서면, 용진읍 등 인근 지역 중에서도 대규모 주거단지로서 주민 접근성이 높은 점이 주요했다. 이 공간은 ‘현장 사랑방’ 개념으로 활용되며 조찬 간담회나 저녁 티타임 등 다양한 형태의 주민 만남이 예정돼 있다.
김 지사의 이번 결정은 앞서 세 차례에 걸친 완주군민과의 대화가 무산되면서, 새로운 방식의 현장 소통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지난해 완주군 내 통합 반대 서명 인원이 약 3만 명으로 알려졌지만, 전체 인구 10만 명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조용한 다수의 목소리도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김 지사는 보다 폭넓은 여론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완주 거주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지사는 지난달 25일 완주군민과의 대화 행사가 무산 된 이후 ‘완주·전주 경청투어’라는 이름으로 찬반을 불문하고 다양한 주민들과 비공식 접촉을 지속해 왔다.
도는 김 지사의 이번 결정이 통합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유창희 도 정무수석은 “찬반 양측이 각자의 논리만 반복하고 있는 지금, 누군가는 중간에서 새로운 장을 열어야 한다”며 “모두 전북의 미래를 걱정하는 마음은 같다고 본다. 김 지사가 그 접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도는 전주시 역시 통합 논의의 당사자인 만큼, 우범기 전주시장과 시의회가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유 수석은 “도는 보완과 조정의 역할을 맡고 있지만, 전주시가 더 나서야 할 몫도 있다”며 “전주시 측에 이러한 도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