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플로팅 전시관·인공섬… 북항 바다에 띄우는 ‘엑스포 승부수’

2030 부산월드엑스포

 

 

2030 부산월드엑스포 유치에 사활을 거는 부산시가 공유수면을 활용해 물에 뜨는 전시공간을 만드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 북항1단계 구역에 ‘엑스포 특별관’을 만드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렇게 되면 유료 구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는데, 엑스포 유료 구역은 개최지 심사의 핵심 잣대다. 190만㎡ 이상은 돼야 유치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산시는 지난달 29일 ‘부산월드엑스포 마스터플랜 수립 제안 검토 회의’를 열고, 정부에 제안할 유료구역 확장 방안을 확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방안은 그간 정부와 용역사의 마스터플랜 수립 작업을 수동적으로 지켜보던 부산시가 종합적인 유치 방안을 처음으로 제안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뜻깊다.

 

부산시, 엑스포 유료구역 확장안 확정

유료구역은 개최지 심사의 핵심 잣대

190만㎡ 이상 돼야 유치 가능성 높아져

현재 실제 면적 150만~170만㎡ 그쳐

해상전시관 20만㎡·인공섬 10만㎡에

특별관까지 더하면 215만㎡로 확장

 


 

현재 정부가 산정하는 부산엑스포 부지 유료 구역 면적은 190만㎡. 이 가운데 철도 7만㎡과 충장대로 지하차도 진출입부, 주차장 등 13만㎡에다 상업 개발이 예정된 부산진CY 20만㎡까지 제외된다면 실제 유료 구역은 20만~40만㎡가 빠진 150만~170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부산시가 제안한 것이 공유수면에 ‘플로팅 해상전시관’과 ‘잔교식 인공섬’을 조성하는 것이다. 유료 구역을 더욱 넓혀 해양 특성을 살리고, 차별화한 콘텐츠를 채울 공간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또 북항1단계 구역에 ‘엑스포 특별관’을 만드는 등 유료 전시 구역을 대폭 확장하는 안을 정부에 제안하기로 했다. 세 곳의 면적이 모두 45만㎡에 달해 이를 합한 유료 구역은 215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로팅 해상전시관’은 관공선부두 앞 공유수면에 선다. 서울 한강 세빛섬과 유사한 방식이다. 부두 안 정온수역이라 플로팅 건축 기술을 활용하기에 안성맞춤이다. 10만~20만㎡에 2~3개 주제관을 만들 수 있다.

 

‘잔교식 인공섬’은 자성대부두와 제7부두 사이 10만㎡ 규모다. 동천까지 선박이 다닐 수 있는 통수로를 양쪽에 둬 물 흐름을 막지 않고 교량들로 육지와 연결한다. 엑스포 부지의 중간 지점이 병목처럼 좁아져 단절감을 주는 단점이 사라져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전시관과 인공섬 아래에 해수가 흐르게 하는 등 최대한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건설하고, 공유수면 점·사용허가를 받으면 법적으로 큰 걸림돌이 없는 것으로 부산시는 파악한다.

 

엑스포 특별관은 유료 전시구역에서 떨어진 북항1단계 내 해양문화지구와 녹지 등 20만㎡를 활용한다. 엑스포 유료 입장객은 물론 시민·관광객들이 별도의 입장료를 내면 특별관을 즐길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주 전시 구역을 보완하는 부가 전시 구역으로 활용도가 높다.

 

부산시는 또 충장대로 지하화로 생기는 지상 구간을 유료 구역으로 최대한 편입하자고 정부에 제안한다. 엑스포 유료 전시 구역을 가로지르는 충장대로가 물리적으로 전시장을 단절시키지 않도록 해 제척지를 최소화하자는 것이다.

 

부산시는 핵심인 유료 구역 이 외에도 상징물 등 콘텐츠, 교통망 등 SOC(사회간접자본) 대책, 홍보 방안 등을 다각도로 발굴한 뒤 외부 자문을 거쳐 정부에 제안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부산시는 정부 자료를 받아서 의견을 개진하는 식으로 정부를 도왔다”며 “엑스포가 국가 사업이지만 앞으로 부산시도 주도적으로 의견을 내 유치 가능성을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박세익 기자 ru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