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군 시천면, 삼장면 일대에는 31일 오전에도 헬기가 아침부터 잇따라 연기가 나는 곳에 연신 물을 쏟아붓고 있다. 지상에서는 진화 대원들이 불이 꺼진 곳을 중심으로 남은 불씨를 제거하고 있다. 공중과 지상에서 마지막 잔불 정리에 나선 것이다. 잔불 정리는 주불을 진화한 후에도 남아 있는 작은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는 작업으로 재발화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산청군의 경우 이날 아침부터 산림청, 경찰청, 국립공원, 경남도 임차 헬기 등 13대가 시천면과 삼장면 일대에 투입됐다. 헬기는 이날도 여전히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는 시천면 지휘본부 건너편 도솔암 인근에 집중 투입돼 물을 뿌렸다. 지상 작업은 진화대원들이 맡았다. 이들은 산에 올라가 낙엽층 아래나 암석 아래에 숨어 있는 불씨를 찾아 제거했다. 헬기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이 방법이 효과적이며, 마지막 진화 확인 작업이다. 잔불 정리는 기본적으로 지자체 중심으로 이뤄진다. 산청군에서 잔불 정리에 나서고 있는 인원은 하루 140여명. 군 산불진화대 23명과 군청 공무원 50여명, 여기에 읍·면별로 배정된 산불감시원 등 60여명이 힘을 보태고 있다. 이날 오후 대원들과 잔불 정리에 나선 산청군 산불진화대 홍구
“밥을 차려 드려도 식사를 하지 않고 울고 있는 주민을 보면 마음이 너무 아프다. 우리는 단지 밥 배식만 도울 뿐이다. 그분들 보면 아무 말도 못한다. 빨리 산불이 끝났으면 좋겠다.” 27일 오전 산불 통합지휘본부가 차려진 산청군 시천면 산청곶감유통센터. 지난 21일 오후 산불이 발생한 뒤 다음날 아침부터 6일째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산청군 새마을회 김민숙(64) 부녀회장은 일주일 가까이 배식을 돕고 있지만 크게 피곤한 기색이 없다. 김 회장 자신도 산청 단성에서 감 농사를 짓고 있으며 이번 산불로 하마터면 큰 피해를 입을 뻔했다고 했다. “금방 불 끄고 오신 분들, 집이 다 타서 망연자실해 하는 주민을 보면 뭐라 위로할 말이 없다.” 산청군 새마을회(회장 고영화) 소속 새마을 협의회, 부녀회, 문고 회원 60여명은 이곳 지휘본부에서 식사 배식과 설거지를 담당하고 있다. 이들은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가 운영하는 이동 밥차에서 마련한 밥과 국, 반찬을 배식하고 설거지를 도맡아 하고 있다. 밥차 운영을 책임진 최해문 센터 사무처장은 “22일 새벽부터 지금까지 직원 5명과 밥차를 운영하고 있다. 식재료는 산청군이 제공하고, 자원봉사자들이 배식과 설거지를 하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