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율은 점점 떨어지고, 화선은 길어지고 있다. 집계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산청 산불’이 번진 하동군 옥종면 일원은 5일째 불길이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 잡힐 듯하던 산불은 점점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강풍’ 악재에 수일째 이어진 진화 전쟁으로 진화대원들의 체력도 한계에 이르고 있다. 대피 주민들도 언제 끝날지 모르는 ‘산불 전쟁’에 몸도 마음도 지쳐가고 있다. 26일 오전 옥종실내체육관에서 만난 할머니 강모(70)씨는 “어젠 너무 추웠는데, 난로가 들어오는 것을 보니 오늘은 그나마 나을 것 같다”면서 “언제 집에 들어갈지 모르겠다”고 했다. 옥종면 옥천관을 중심으로 산과 인접한 마을 주민은 모두 집을 비운 채 옥천관, 옥종초·중·고 등 시설에서 5일째 보내고 있다. 씻는 것, 입는 것, 먹는 것 어느 것 하나 불편하지 않은 것이 없다. 최일선에서 화재 진압에 나서고 있는 하동군 화재진압대원 33명은 한결같이 “언제 끝날지 모르지만 빨리 쉬고 싶은 마음뿐”이라고 했다. 김용길 조장은 이날 기자와 만나 “낙엽 등으로 발이 푹푹 빠지는 산을 오르내리는 것이 가장 힘들다”면서 “아침까지는 진화율이 올랐는데 오후부터 바람이 분다니 걱정”이라고 말
“정상부(정개산)에서 진화 중입니다. 나흘째 진화를 하다 보니 숨이 턱턱 막힙니다.” 하동 산불 진화대 김용길 2조 조장이 휴대전화로 건넨 말이다. 하동 산불 진화율이 70%를 보이면서 3.5㎞ 화선을 끄는 데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하고 있다. 그런데도 진화율은 이틀째 제자리걸음이다. 가장 어려운 점은 강풍이다. 25일 오후 3시 거센 바람에 청계사지구 현장 진화 인력이 철수했다.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풀이된다. 여기에 재선충병 예방을 위해 간벌한 소나무 훈증 더미, 발이 푹푹 꺼지는 낙엽도 큰 걸림돌이다. 헬기로 물을 부어도 속은 잉걸불이 돼 불씨가 옮겨 붙는 원인이 된다. 결국 진화대원들이 물이나 호스로 직접 꺼야 한다. 높이 520m 하동군 옥중면 정개산이 화마와 맞서 싸우는 전선이다. 한쪽은 청계사지구이다. 김 조장은 “정개산 정상에서 잔불 정리 중”이라고 말했다. 아무리 끄도 불씨가 남아 대원들이 500m까지 호스를 메고 가서 진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수작업 외에는 방법이 없다. 거센 바람도 악조건이다. 여기에 높은 기온, 높은 습도, 황사까지. 하루 전인 24일 현장에 투입됐던 하동군청 박모(50)씨는 “경사가 가파른 데다 땅이 바짝 말라
봄은 남도 끝자락에서 시작된다. 갯버들이 하얀 속살을 삐쭉 내밀면서 뽀송뽀송한 솜털로 방긋 인사를 하면 겨우내 얼었던 도랑이 금세 쏴 쏴 소리를 내면서 바위에 물을 끼얹는다. 땅이 서서히 녹으면서 흙내음이 코를 간질일 때쯤, 거제나 여수의 동백이 봄의 전령사로 꽃봉오리를 힘차게 밀어 올린다. 봉긋한 꽃이 인사를 하면 “진짜 봄이 왔구나”하는 신호는 벚꽃이 쏘아 올린다. 물을 잔뜩 머금은 잎이 연노란 잎을 하나둘씩 쏙쏙 보여주는 녹차도 봄의 전령으로선 뒤지지 않는다. 하동의 봄은 벚꽃과 녹차가 만들고 그 깊이는 여름, 가을, 겨울로 이어지며 지리산의 눈이 끝점을 찍는다. 둘을 더 느끼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하동 ‘최참판댁 한옥호텔’이다. ■ 한옥호텔 특징 = 느림, 한옥이 주는 첫 느낌이다. 잠깐 졸아도 다음 역에서 내리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이나 초조함이 없다. 무궁화호가 주는 여유를 닮았다. 슬쩍 건너뛰거나 딴전을 피워도 흐름을 이해하는데 아무런 방해가 안 되는 멜로 영화처럼. KTX나 비행기에서는 얻을 수 없는 편안함이자 여유다. 여기에 호텔 같은 편안함을 더했다. 최참판댁 한옥호텔은 여기에 스토리텔링까지 갖췄다. 박경리 선생의 소설 ‘토지’
사천시가 지난 3월 76억원을 들여 매입한 대방동 5층짜리 냉동창고 활용 방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시는 초기 주차장으로 방침을 정했다가 지금은 ‘사천시아트뮤지엄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그러나 확정된 것은 없고 용역이 진행 중이다. 2018년 12월 도시계획시설 고시대로 헐어 삼천포대교공원 주차장으로 쓸지, 아니면 사업자 공모를 거쳐 아트뮤지엄사업을 진행할지는 최종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차장이든 아트뮤지엄이든 5층짜리 건물을 20억원을 들여 철거할 경우, 76억원에 산 부지와 건물 비용 중 건물 비용은 매몰되는 셈이다. 100억원짜리 주자장이 됐든, 공모를 거쳐 민간사업자가 이 건물을 중심으로 관광사업을 하든 뒷말은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경과= 사천시는 대방동 728 일대 삼천포대교공원 한쪽을 차지하고 있는 5층 규모의 옛 우인수산 건물(연면적 4256㎡)을 사천시 아트뮤지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2024년까지 민간사업자 공모를 거쳐 160~180억원을 들여 체감형 미디어아트 전시관, 업사이드다운 뮤지엄, 마켓 갤러리, 작가 스튜디오 등 문화복합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시는 지난 3월 76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