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시인 심훈은 그날이 오면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거라고 노래했다. 올해는 시인이 그토록 보기를 갈망한, 한민족이 45년 일제 치하의 사슬을 끊고 광복한 지 80주년이 되는 해다. 조국 광복을 실감 못한 시인이 광복 80주년의 해 되살아 온다면, 어느 곳을 가장 먼저 찾을까? 자작시 ‘그날이 오면’을 비롯해 수 많은 시와 어록이 비로 세워져 있고 한민족 시원부터 항일독립투쟁, 전쟁 참화를 딛고 이룩한 번영의 역사가 전시관마다 가득한 곳, ‘2025~2026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한국관광 100선’에 뽑힌 곳. 바로 충남 천안의 ‘독립기념관’이다. ■ 815기 태극기 마당, 높이 51m 겨레의 탑 독립기념관은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사건을 계기로 건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됐다. 기념관 건립에 남녀노소 온 국민이 나서 성금 500억원을 모았다. 1986년 8월 5일 중앙일보 보도를 보면 독립기념관 유치를 두고 각 지역은 치열하게 경쟁했다. 당시 천원군 목천면 흑성산 일대 330만5천여㎡(100만 평)가 결정된 것은 산수가 빼어나 명당으로 꼽힌 흑성산은 물론 이동녕과 유관순 등 수 많은 의사·독립투사들의 고
‘여기가 빵의 천국!’ 빵돌가마마을 흥타령의 고장 충남 천안은 예로부터 삼남의 분기점이었다. 현재도 KTX, SRT, 국·전철과 고속도로가 지나는 교통 요충지다. 편리한 교통여건으로 사람과 물자, 돈이 젖과 꿀처럼 흐르는 천안에는 삼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전국을 호령하는 빵테마파크가 있다. 천안시 동남구 구룡동 경부선 철로변 언덕에 자리한 ‘뚜쥬루 빵돌가마 마을’이다. 뚜쥬루 빵돌가마 마을은 국내 최초로 빵돌가마에서 빵을 굽는 마을이다. ■전국 최대 빵테마파크=2만9,700여㎡에 달하는 빵돌가마 마을은 단일 빵테마파크로는 전국 최대 규모다. 빵돌가마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독특한 외관의 빵전문관이 이곳이 빵지 순례객들의 성지임을 조용히 웅변한다. 빵전문관에는 2013년 도입한 국내 최초의 빵돌가마 1호가 있다. 1호 빵돌가마는 스페인 화산석을 이용해 외국의 전문업체가 시공했다. 전용 빵돌가마 보유는 빵돌가마 마을이 국내 최초다. 빵전문관에서는 빵돌가마에서 구운 겉은 바삭, 속은 촉촉한 풍미 가득한 빵들과 갓 구워낸 신선하고 다양한 빵을 즐길 수 있다. 빵전문관의 인기 제품은 돌가마 만주와 거북이빵이다. 돌가마 만주는 직접 끓인 천안팥과 돌가마로 구워 풍미가 살아
국민성금으로 주춧돌을 놓은 독립기념관에서 올해는 광복절 경축식이 열리지 않는다. 독립기념관은 김형석 관장이 오는 15일 정부가 서울에서 주최하는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하는 이유로 15일 오전 독립기념관에서 개최하기로 한 광복절 경축식은 취소한다고 12일 밝혔다. 독립기념관은 광복절 경축식은 취소하지만 블랙이글스 에어쇼 등 애초 계획한 문화행사는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전했다. 당초 독립기념관은 15일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제79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계획했다. 독립운동가 후손 등을 초청해 독립기념관과 천안시가 공동 주관하는 올해 독립기념관 광복절 경축식은 김형석 관장의 기념사, 박상돈 천안시장의 경축사 뒤 참석자들의 광복절 노래 제창에 이어 만세삼창으로 폐막 예정이었다. 독립기념관은 1987년 개관 이래 해마다 광복절마다 정부 주관 혹은 지자체와 함께 광복절 경축식을 이어갔다. 지난해 광복절 경축식은 충남도와 공동으로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에서 가졌다. 2019년은 정부 광복절행사가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독립기념관에서 열렸다. 독립기념관 관계자는 "매년 광복절마다 독립기념관에서 경축식이 열렸지만 미개최는 올해가 처음"이라고 말했다. 독립기념관이 행사
[아산]"날아가는 새들 바라보면 나도 따라 날아 가고 싶어. 파란하늘 아래서 자유롭게 나도 따라 가고 싶어." 변진섭이 부른 '새들처럼'의 가사다. 새들처럼 날진 못하지만 나는 새, 쉬는 새를 사진에 담고 아픈 새를 구조해 돌보는 이가 있다. 김상섭(70·아산시 도고면) 한국조류보호협회 아산시지회장이다. 김 지회장은 독극물에 중독돼 죽은 새들을 보고 충격을 받아 1997년 조류보호 봉사활동에 뛰어 들었다. 지회 결성을 주도해 초대 회장으로 26년째 조류 구조 및 생태 모니터링에 앞장서고 있다. 맹금류 야생 조류를 돌보며 아찔한 경험도 했다. 2010년 타지에서 탈진한 천연기념물인 흰꼬리수리를 구조했다. 사흘간 집에서 직접 돌본 뒤 방사하던 날 흰꼬리수리가 김 지회장의 입술 부위를 부리로 찍었다. 열일곱 바늘이나 꿰맨 자리는 흉터로 남았다. 그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구조활동에 복귀했다. 보람을 느낀 순간도 여러 번. 2000년대 광덕산에서 청설모가 기승을 부리며 호두농가가 수확량 감소로 울상이라는 소식을 듣고 민간과 손잡고 수리부엉이를 방사해 효과를 보았다. 5년 전 아산시 인주 들판에서는 독수리 20여 마리를 구조했다. 김 지회장은 요즘도 매일 아산과 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