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김해, 함안 등에서 가야 왕국의 존재를 드러내는 유물들이 잇따라 발굴되며, ‘잊힌 왕국’ 가야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4일 2015년부터 금관가야 왕성의 실체 확인을 위해 실시 중인 ‘김해 봉황동 유적’ 10차 발굴 유물을 공개했다. 1세기 변한부터 이어지는 ‘금관가야’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로, 최고 세력을 상징하는 의례용 옻칠 제기(목이 긴 옻칠 굽다리 접시) 등 15점을 소개했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발굴한 유물들은 대규모 취락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구상유구(溝狀遺構)와 함께 깊이 약 0.7m의 유기물층에서 확인되었다. 1~4세기에 제작·사용된 최고급 옻칠 목기를 포함한 300여 점의 목제품이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옻칠 제기(목이 긴 옻칠 굽다리 접시) 15점의 목 부분은 지름 1cm로, 기존 출토품들에서 확인된 지름인 3~4cm보다 훨씬 가늘고 정교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 바닥 부분에 녹로(물레)를 고정한 흔적이 있어 초기 단계지만 그릇을 만들 때 돌려가며 작업하는 ‘회전 깎기’ 기술이 변한 시기부터 존재했다는 걸 의미한다. 당시 목공예 기술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공개한 15점을 포함해 칼집형 칠기
가끔 진행되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화가 조사를 보면, 빈센트 반 고흐는 늘 빠지지 않는다. 그의 진품을 볼 수 있는 내한 전시는 10년에 1번 정도로 드물게 열리고, 유럽과 미국 유명 미술관이 소장한 그의 작품들을 볼 수 있는 기회는 한정적이다. 그럼에도 고흐와 연관된 전시도, 그의 작품을 활용한 아트 상품은 여전히 막강한 대중성을 가지고 있다. 미술과 여행 분야를 오래 취재한 덕분에 미국, 유럽에서 고흐의 그림들을 직접 마주할 기회가 많았다. 유명 작품을 실제로 보면, 의외로 “생각보다 평범하네” “책에서 본 그대로다”라는 느낌이 많다. 아마도 학창 시절 화려한 형용사로 묘사한 그림에 관한 설명이 선입견을 만들었던 것 같다. 다행히 고흐의 그림은 볼 때마다 놀라웠다. 그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그린 정물, 풍경, 인물화는 신기하고 신비했다. <천문학이 발견한 반 고흐의 시간>은 사실 반 고흐라는 단어에 꽂혀 읽기 시작했다. 직업, 전공과 관계없이 평소 인문학 철학 예술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그 분야 전문가를 능가하는 사람이 많은 세상이라 저자가 천문학자라는 사실이 특이점으로 생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천문학적 지식과 배경을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