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26.8℃
  • 구름조금서울 29.2℃
  • 구름많음인천 26.7℃
  • 구름조금원주 30.4℃
  • 맑음수원 27.8℃
  • 구름많음청주 31.6℃
  • 맑음대전 30.0℃
  • 구름많음포항 23.4℃
  • 구름많음대구 29.0℃
  • 구름많음전주 29.6℃
  • 구름많음울산 24.0℃
  • 구름많음창원 24.6℃
  • 구름많음광주 26.8℃
  • 흐림부산 24.3℃
  • 구름많음순천 23.7℃
  • 구름조금홍성(예) 27.6℃
  • 구름조금제주 26.6℃
  • 구름많음김해시 24.2℃
  • 구름많음구미 29.7℃
기상청 제공
메뉴

(전북일보) 지진에 노출된 전북, 정밀 조사 필요성 대두

기상청, 1978년 이후 전북 98건으로 전국 6번째로 지진 잦아
2017년 12월 도-전북대 '전북 지진환경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용역'
도내 전주단층, 광주 단층대 등 추가 활성단층 존재 가능성
전북은 많은 지진 대비 예산 배정 필요 , 새만금 지역 등 정밀 조사도

전북지역이 지진 위험성에 노출돼 있는 만큼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책 마련이 제기된다. 특히 새만금 지역이 지진과 관련한 활성단층과 가까이 자리 잡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온만큼 지반이 약한 새만금 지역에 대한 정밀 조사 필요성이 대두된다.

16일 기상청 날씨누리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지진 관측이 시작된 지난 1978년부터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전북에서는 98건이 발생했다. 1970년대·1980년대 4건, 1990년대 14건, 2000년대 34건, 2010년대 25건, 2020년대 17건 등이다.

17개 광역단체별로는 경북(674건), 전남(202건), 충남(180건), 인천(133건), 강원(120건)에 이어 6번째로 지진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2017년 12월 전북대 산학협력단이 발표한 '전라북도 지진환경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용역'에서도 전북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왔다. 

용역결과 전북에서 발생한 지진 위치(진앙의 위치)의 전체적인 방향성은 남동-북서 또는 남남서-북북동 방향을 가리키고 있으며, 이는 한반도 주요 활성 단층(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단층)의 방향성의 일치한다.

지역 내 전체적으로는 동부에서 서부로 이동할수록 도내 건물들이 지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내 주요 단층 중 전주 단층대와 광주 단층대 등에 따라 더 많은 활성 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명시돼 있다. 도내에서 진도 7(규모 6)에 해당하는 지진에 대한 기록이 있는 등 '전북은 지진 안전지대라고 할 수 없다'라고도 적시했다.

산학협력단은 용역을 통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에 대책 마련에도 적극 나설 것도 촉구한 바 있다.

지진취약도를 활용한 지진 지구 선정과, 전북을 지진취약도 시범지역으로 선정할 것을 요구했다. 신도시 계획 등 도시개발이나 건물 및 시설물 건설 시 지진취약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북은 토양의 깊이가 깊어 지진에 취약할 수 있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 정부의 더 많은 지진 대비 예산 배정 필요성도 역설했다.

새만금 지역의 지진 위험도도 주목된다.

새만금은 매립지의 특성상 포항보다도 연약한 지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근에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이어지는 활성단층의 존재도 조사됐다.

또 지진 문제와 관련해 새만금의 매립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공개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실제 도내에서 발생한 지진 98건 중 군산에서 31건, 부안 22건, 김제 2건 등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용역에서도 새만금 지역에 대한 지진동 특성 및 증폭 가능성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언급한 바 있다.

용역의 연구 책임을 맡았던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는 "2017년 용역을 토대로 정부에 추가 연구를 요청했었는데 반영되지 않았다"며 "정부는 지질 연구를 권역별, 활성단층 위주가 아닌 지진 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만금지역은 당초 농업용지로 계획되었던 만큼 매립에 속도를 내느라 연약한 갯벌 위에 흙을 얇게 덮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도에 따르면 16일 오전 7시 기준 부안 지진과 부안(455건), 정읍(31건), 군산(16건) 등 도내 곳곳에서 총 586건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