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7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마친 뒤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일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과학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우리 국민의 요구를 고려한 의미 있는 조치가 이뤄지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오염수에 대한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기시다 총리가 이웃 국가인 한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선 “진정성을 갖고 하는 것이 중요하지 어느 일방의 상대에게 요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과거사가 정리되지 않았다고 해서 미래협력에서 한 발짝도 내디뎌서는 안 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강제징용 해법에 대한 정부의 방침이 바뀔 것이냐’는 질문에는 “바뀌지 않는다”라며 “우리가 발표한 해법은 1965년 청구권 협정과 2018년 법원의 판결을 동시에 충족하는 절충안으로서 법적 완결성을 지닌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답했다.
기시다 총리도 기존 일본 정부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로를 전하는 방식으로 한층 진전된 태도를 보였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측이 발표한 강제징용 해법을 언급하면서 “나 자신은 당시 혹독한 환경에서 많은 분이 매우 고통스럽고 슬픈 일을 겪었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의 결단으로 3월 6일 발표된 (강제징용 해법 관련)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의 노력이 진행되는 가운데 많은 분이 과거의 아픈 기억을 잊지 않으면서도 미래를 위해 마음을 열어 준 것에 감동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기시다 총리는 도쿄 한·일정상회담에 이어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도 직접적으로 ‘사죄와 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은 채 1998년 발표한 한·일 공동선언(김대중-오부치 선언)을 포함해 역대 일본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개인 입장이라는 걸 전제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들이 겪은 고통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이어서 국내 여론의 반응이 주목된다.
양국 정상은 또 윤 대통령이 오는 19일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 히로시마를 찾으면 함께 히로시마 평화 공원에 있는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찾아 참배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또 한·미 간의 확장억제 강화 방안이 담긴 ‘워싱턴 선언’이 한·미·일 간 협력으로 확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일본의 참여를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워싱턴 선언은 완결된 것이 아니다. 계속 논의하고 또 공동기획, 공동실행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 내용을 이제 채워 나가야 하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경제 분야 협력에도 상당 부분 의견 일치를 보인 것으로 평가된다. 윤 대통령은 “양국의 대표적 비우호 조치였던 소위 화이트리스트 원상 회복을 위한 절차들이 착실히 이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의 반도체 제조업체와 일본의 우수한 소부장 기업들이 함께 견고한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이 분야에서 공조를 강화하자는 데에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