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강릉 15.7℃
  • 박무서울 12.6℃
  • 맑음인천 11.7℃
  • 구름조금원주 14.1℃
  • 박무수원 10.6℃
  • 구름조금청주 13.1℃
  • 구름조금대전 12.3℃
  • 포항 18.7℃
  • 대구 17.2℃
  • 구름많음전주 14.8℃
  • 울산 17.2℃
  • 창원 16.9℃
  • 흐림광주 15.9℃
  • 부산 17.4℃
  • 흐림순천 16.1℃
  • 구름많음홍성(예) 10.7℃
  • 제주 17.5℃
  • 흐림김해시 16.9℃
  • 흐림구미 16.4℃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3·15의거 제대로 평가 받으려면 전문 연구기관 설립해야

[3·15의거 63주년] 평가 절하된 마산 3·15의거… 4·19에 묻혀 연구 제대로 안 돼

1960년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선거 당시부터 그해 4월 13일까지 마산에서 일어난 우리나라 최초 유혈 민주화운동인 3·15의거가 올해로 63주년을 맞았다.

3·15의거는 최초 민주화운동으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4·19혁명의 도화선으로 한국 민주주의 초석이 됐다. 이를 기념하고자 지금까지 진실화해위원회 조사가 이뤄지고, 3·15의거 특별법이 통과되는 등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주요 민주화운동이 있었던 도내 지자체와 대학에는 3·15의거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조사하는 연구기관이 단 한 곳도 없어 제대로 된 진실 규명과 역사적 평가가 부족하다는 아쉬움이 남아있다. 이에 대한민국 민주화운동 시작점이라는 역사적, 국가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통해 미래 세대를 제대로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민주화 도시지만, 연구 기반은 없어= 경남은 3·15의거 외에도 부마민주항쟁, 6월 민주항쟁 같은 한국 주요 민주화운동이 3번이나 일어났던 곳이다. 하지만 이같이 중요한 역사를 기억하고 평가해야 할 전문 연구기관은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주요 민주화운동이 있었던 지자체와 대학들은 관련 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수도권에는 △한국민주주의연구소 △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성균관대학교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 등 4곳이 있다. 광주에는 △전남대 5·18연구소 △5·18기념재단 산하 5·18국제연구원 등 2곳이 있다. 인근 부산에도 △민주주의사회연구소 △10·16 부마항쟁연구소가 있다. 민주주의 관련 연구소들은 학문 연구뿐만 아니라 역사를 기록하고 교육활동도 진행하고 있어 시민들에게 지역 민주화운동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산하 5·18 국제연구원 유경남 실장은 “연구소는 학술 연구 외에도 5·18 관련 진상규명 등 다방면으로 민주주의를 기억하고 알리는 기관이다”라며 “민주주의라는 것은 과거 역사가 아니라 미래를 위해 계속 발전되어야 하기에 연구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3·15의거는 굉장히 중요한 민주주의 역사이기에 연구소는 당연히 필요하다”며 “의거가 60여년이 넘어가 당사자들이 고령이 됐기에 이들에 대한 구술, 영상을 연구소가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기록들은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 자료로 쓰이기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경남에서도 곧 민주주의 전문 연구기관이 첫발을 뗀다. 경남대는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하고, 지역사회에 성숙한 민주주의가 자리 잡도록 ‘K-민주주의연구소’를 오는 5월 개소할 예정이다. 경남대는 지난 1960년 부정선거에 반발해 마산에서 일어난 3·15 의거와 부마민주항쟁, 6·10민주항쟁 등 민주화운동 역사 속에서 상징적인 중심지이자 발원지이기도 하다. K-민주주의연구소는 앞으로 기초 자료수집, 민주단체 간담회 등을 진행하고 하반기에는 개소 기념 전국학술행사도 개최할 예정이다.

◇연구 부족으로 3·15의거 평가절하= 지난 2010년 3·15의거 기념일이 4·19혁명 기념일과 별개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15의거는 4·19혁명의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3·15의거 희생이 있었기에 4·19혁명이 있고, 부마민주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교육계도 마찬가지로 한국사 교과서 대부분 3·15의거 내용을 4·19혁명 속에서 다루고 있고 배경 설명 또한 빈약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런 혼란이 지속된 데에는 관련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정성기 경남대 경제금융학과 교수는 “3·15의거 연구가 부족하기에 3·15의거, 4·19혁명 정체성이나 의미가 굉장히 혼란스럽다”며 “당시 4월 18일 고려대에서 서울지역에 처음으로 벌어진 시위 구호가 ‘마산 사건 정부가 책임져라’였다. 이는 3·15의거가 4·19혁명 도화선이라는 핵심적인 증거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 교수는 “민주화와 산업화가 동시에 이뤄지고, 주요 민주화 운동이 벌어진 도시는 경남, 마산뿐이다. 하지만 관련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제대로 된 교육도 안 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아울러 지난해 10월 2기 진실화해위원회가 직권조사를 발표한 3·15의거사 중 할아버지, 할머니 시위에 관해서도 연구가 부족해 재조명이 늦어졌다는 지적도 있다. 할아버지, 할머니 시위는 1960년 4월 24일부터 25일까지 마산지역에서 일어났다. 당시 신문에 보도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기관·인력이 없으니 재조명 또한 늦어진 것이다. 정성기 교수는 “만약 전문 연구인력이 있었다면 이같이 중요한 사실을 빨리 찾아낼 수 있었을 것”이라며 “당시 신문 보도가 됐는데도 새삼스럽게 이제야 이야기가 나와 학자로서 반성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고 했다.

제대로 된 연구가 이뤄지려면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주임환 3·15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은 “경남에는 대표적인 민주주의 연구기관이 없다. 다행히 지역 대학에 곧 연구소가 개소될 예정이지만, 연구비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며 ”정부가 뒷받침해주고 지자체 지원을 해줘야 연구소가 제대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이전에는 기념사업회에서 임의로 학자를 섭외해 논문을 맡기거나 언론 기사를 취합하는 수준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체계적인 연구가 아니니 무게가 떨어졌는데 이런 점을 보완할 연구소는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