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도시화로 인구와 자원 소비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이에 따른 교통 혼잡과 재난, 미세먼지 등 각종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의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스마트 시티에 주목, 빅데이터·AI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통한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07년 고속정보통신망 시스템(ICT)을 활용한 택시개발 사업에 이어 2018년부터 도시 문제해결 및 혁신 생태계 육성을 위한 스마트시티가 본격화됐다.
하지만 전북에서는 관련 사업이 재정 부담 등의 이유로 기피돼 타지역에 비해 관련 생태계가 뒤처졌다는 지적이다.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말한다.
전북에서는 지난 2016년 완주와 2018년 고창, 2019년 전주가 정부의 개발한 다양한 도시 상황 관리 및 스마트도시를 위한 기술을 보급하는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지난해 완주가 정부의 스마트 횡단보도나 놀이터 등과 같은 시민 체감도를 높이는 스마트솔루션 챌린지 사업에 선정된데 이어 올해는 김제가 선정돼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 같은 사업 외 도내에서는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이 없다는 것이다.
반면 타지역의 경우 4차 산업혁명의 각종 첨단기술을 집약한 미래형 스마트 스마트시티 구축에 적극이다.
세종은 지난 2017년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도시를 컨셉으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구축 중이며 부산은 지난 2019년부터 데이터와 증강현실 기반 중심의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EDC)를 구축하고 있다.
그 밖에 경기도 부천과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가 민간기업과 함께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추진 중이며 경남 통영과 부산시 수영구, 서울시 충남 부여군 등 지자체가 기성 도시의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스마트타운 챌린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사업 참여를 위해 지자체들이 준비를 했지만 재정부담의 이유로 결국 포기한 사례가 있다”며 “이와 관련해 보다 지자체들이 정부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스마트시티 인프라 확충에 노력해 전북이 낙후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엄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