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장에 설치된 작품을 감상하는 한편, 관객 나름대로 전시된 작품 해석하는 과정에서 비워둔 전시 공간을 채워나간다. 작품·전시 기획자·관객 모두가 전시의 주체가 된다는 ‘갤러리 0+ 제로 플러스’의 메시지다.
전북도립미술관(관장 김은영) 2층 로비 및 1~4전시실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갤러리 0 제로’가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를 공동 주최한 국립현대미술관은 ‘2020년 지역미술관협력망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 28명의 작품 33점을 전북에 소개했다.
‘갤러리 0 제로’의 영문 제목인 ‘Museum ON Gallery ZERO’는 ‘제로 베이스 상태의 전시 공간에서 새로운 미술관을 지향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미술관의 역할을 점검하는 동시에 향후 펼쳐질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미래지향적 의도를 담았다.
전시 개막 한 달을 맞은 지난 15일에는 주제와 연계한 아트콘서트를 열고 미술과 음악의 만남을 그렸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지친 심신을 위로하기 위해 마련한 이 자리에는 거리 두기 방침을 준수하기 위해 미술관 측에서 사전에 초청한 전시 관계자 등 소수 정원이 참석했다.
이날 아트콘서트의 진행자로는 ‘갤러리 0 제로전’의 외부기획자인 장원 미술비평가가 나서서 전시의 내용을 소개했다.
전시공간은 △조형-공간 △공감각-통섭 △가족-관계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나눴다.
전북도립미술관(관장 김은영) 2층 로비 및 1~4전시실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전 ‘갤러리 0 제로’가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를 공동 주최한 국립현대미술관은 ‘2020년 지역미술관협력망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내외 현대미술 작가 28명의 작품 33점을 전북에 소개했다.
‘갤러리 0 제로’의 영문 제목인 ‘Museum ON Gallery ZERO’는 ‘제로 베이스 상태의 전시 공간에서 새로운 미술관을 지향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미술관의 역할을 점검하는 동시에 향후 펼쳐질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미래지향적 의도를 담았다.
전시 개막 한 달을 맞은 지난 15일에는 주제와 연계한 아트콘서트를 열고 미술과 음악의 만남을 그렸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지친 심신을 위로하기 위해 마련한 이 자리에는 거리 두기 방침을 준수하기 위해 미술관 측에서 사전에 초청한 전시 관계자 등 소수 정원이 참석했다.
이날 아트콘서트의 진행자로는 ‘갤러리 0 제로전’의 외부기획자인 장원 미술비평가가 나서서 전시의 내용을 소개했다.
전시공간은 △조형-공간 △공감각-통섭 △가족-관계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나눴다.

미술관의 지난 역사를 돌이켜보며 향후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그 대안의 제시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서 관객의 역할에 힘을 실었다. 이 공간에서 관객은 무엇이든지 촉발할 수 있는 ‘에너지 제로 상태’가 된다. ‘보여주는’ 전시에서 ‘보고 참여하는’ 전시로의 전환하면서 미술관의 공익성과 교육성을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1~2전시실은 미술 작품을 이루는 본질적인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조형과 공간’을 주제로 장소성을 강조하고 색채가 유발하는 조형과 공간 개념을 지닌 작품으로 채웠다.
3전시실에서는 미술 작품이 반복적인 운율과 리듬감을 만들면서 음악 장르와 통섭한다. 시각을 넘어선 공감각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작품으로 구성했다.
‘가족과 관계’를 담은 한 4전시실은 당초 5월 개최를 염두에 두고 ‘가정의 달’ 특집으로 기획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최가 연기되면서 ‘갤러리 0 제로’와 함께 선보이는 주제다. 현대사회에서 언제나 중요한 화두를 다룬 만큼, 여기에서는 가족에서 확대된 사회적 관계를 돌이켜 볼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작품의 맥락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시장 내부 바닥이 점증적으로 층을 형성했는데, 이는 관람객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한다는 점이 큰 특색이다.
정우석 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미술관의 공익성과 교육 및 관객 참여 확대를 통해 지역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며 이번 전시의 기획의도를 밝혔다. 이 전시는 오는 8월 2일까지 이어진다.
김태경 기자
1~2전시실은 미술 작품을 이루는 본질적인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조형과 공간’을 주제로 장소성을 강조하고 색채가 유발하는 조형과 공간 개념을 지닌 작품으로 채웠다.
3전시실에서는 미술 작품이 반복적인 운율과 리듬감을 만들면서 음악 장르와 통섭한다. 시각을 넘어선 공감각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작품으로 구성했다.
‘가족과 관계’를 담은 한 4전시실은 당초 5월 개최를 염두에 두고 ‘가정의 달’ 특집으로 기획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최가 연기되면서 ‘갤러리 0 제로’와 함께 선보이는 주제다. 현대사회에서 언제나 중요한 화두를 다룬 만큼, 여기에서는 가족에서 확대된 사회적 관계를 돌이켜 볼 수 있는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작품의 맥락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시장 내부 바닥이 점증적으로 층을 형성했는데, 이는 관람객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유도한다는 점이 큰 특색이다.
정우석 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미술관의 공익성과 교육 및 관객 참여 확대를 통해 지역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며 이번 전시의 기획의도를 밝혔다. 이 전시는 오는 8월 2일까지 이어진다.
김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