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12.3℃
  • 연무서울 12.1℃
  • 박무인천 12.9℃
  • 구름많음원주 9.6℃
  • 박무수원 12.3℃
  • 맑음청주 12.3℃
  • 구름많음대전 12.8℃
  • 구름많음포항 13.2℃
  • 맑음대구 11.0℃
  • 맑음전주 15.5℃
  • 구름많음울산 14.5℃
  • 구름많음창원 13.8℃
  • 맑음광주 13.1℃
  • 구름많음부산 15.3℃
  • 맑음순천 11.1℃
  • 박무홍성(예) 12.8℃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조금김해시 13.0℃
  • 맑음구미 10.4℃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마산만 ‘죽음의 바다’ 오명 벗었지만 여전히 공업용수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20년

과거 검은빛으로 ‘죽음의 바다’ 오명이 붙었던 마산만을 정화하기 위해 연안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된 지 올해로 20년이 됐다. 마산만 수질은 다소 개선됐지만 여전히 공업용수 수준에 머물고 있다. 마산만이 물새들이 나는 푸른 바다로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는 관리 지자체인 창원시의 적극적인 의지가 더 중요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 COD 등 ‘3등급’ 그쳐
특별관리해역 중 수질 2번째 낮아
창원시, 매립·오염원 등 관리 나서야

 

1989년 11월 오염된 마산만 모습./경남신문DB/

 

1992년 5월 열린 마산만살리기 캠페인 모습./경남신문DB/

 

◇마산만 수질 ‘공업용수’ 수준= 마산만의 수질은 마산수출자유지역과 창원기계공단이 들어선 1970년대부터 급격히 나빠졌다. 1975년에는 가포해수욕장의 수영이 금지되고 1981년에는 첫 적조로 10㏊에서 어패류가 단체로 폐사했다. 이처럼 오염이 심했던 마산만은 1982년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됐지만 일반적인 해양 관리로 개선이 어려웠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05년 마산만을 위해 오염물질 배출총량을 억제하는 연안오염총량관리제를 도입, 준비 기간을 거쳐 2007년 전국 처음으로 마산만에 연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했다.

 

마산만은 연안오염총량관리제에 따라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과 총인(T-P)을 지표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수질 오염의 주된 지표로 사용되는 COD는 수중의 유기물을 산화제로 분해할 때 필요한 산소량을 말한다. 이 수치가 높으면 그만큼 수질이 오염됐다는 뜻이다. 해양수산부의 특별관리해역 수질 현황 등에 따르면 2024년 마산만의 COD는 2.09㎎/ℓ, 총인은 0.028㎎/ℓ로 나타났다. 해역 수질환경 기준으로 마산만은 ‘등급 Ⅲ’에 그친다. 공업용수와 선박의 정박 등 기타 용도로 이용되는 수질이라는 의미다.

 

COD가 2㎎/ℓ 이하에 총인이 0.015㎎/ℓ 이하로 내려가야 ‘등급 Ⅱ’로 해수욕 등 해양에서의 관광과 수산생물에 적합한 수질로 평가받는다.

 

마산만은 20년간 연안오염총량관리제로 관리받고 있지만 COD 수준은 1.75㎎/ℓ로 내려간 2013년을 제외하고 2㎎/ℓ와 3㎎/ℓ를 오가고 있다. 특히 지난 2022년에는 3.4㎎/ℓ까지 오르며 관리제가 도입된 2005년 당시(2.8㎎/ℓ)보다 수질이 악화했었다.

 

특히 특별관리해역(마산만, 부산연안, 울산연안, 광양만, 시화호·인천연안) 중에서 마산만은 COD가 2.65㎎/ℓ 수준인 시화호에 이어 두 번째로 수질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연안이 1.41㎎/ℓ로 가장 수질이 좋으며 울산연안이 1.54㎎/ℓ, 광양만이 1.93㎎/ℓ로 뒤를 이었다.

 

2005년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후 수질이 다소 향상돼 2020년 6월 마산만 돝섬에서 발견된 해양보호생물 잘피./경남신문DB/

 

2021년 열린 ‘제1회 창원특례시 마산만 전국 트라이애슬론대회’모습./경남신문DB/

 

◇‘매립·오염원 유입’ 막기 위해 창원시 의지 필요= 지난 2005년 연암오염총량관리제가 도입되면서 함께 만들어진 마산만특별관리해역민관산학협의회는 마산만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창원시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들은 마산만 수질 개선을 논의하며 매년 점유입원을 모니터링하고 오염물 정화사업을 진행했다.

 

이성진 사무국장은 “현재 연안오염총량관리제로 해양 정화가 정부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는데 이제는 지자체로 옮겨가야 한다고 본다”면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등 관리 자체는 지자체의 몫이기 때문에 이들 오염원 관리를 해양 중심으로 통합적 관리를 이어가야 수질 개선이 획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산만 등에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매립 사업도 해양 수질 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된 우려점으로 지적했다.

 

마산만은 1900년대부터 100여 년간 40% 이상이 매립되면서 좁아진 상태다. 최근 진해신항 건설로 진해만 매립이 진행되고 있어 인접한 마산만에도 영향이 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마산만 등 해양에서 진행하는 매립을 막을 수 있는 것 또한 지자체이기 때문에 해양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창원시의 의지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사무국장은 “시는 여전히 바다를 이용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 바다를 보존의 대상으로서 중심을 잡아야 해양 환경을 저해시키는 관련 사업에 제동을 걸고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