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포항 22.3℃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흐림창원 24.4℃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순천 24.5℃
  • 맑음홍성(예) 26.4℃
  • 제주 24.5℃
  • 구름많음김해시 25.1℃
  • 흐림구미 23.4℃
기상청 제공
메뉴

(경인일보) [이슈추적] ‘강릉 가뭄’ 기후위기시대 경고등

경기도 취수원 다변화 급선무… 증발 적은 지하수저류댐 대안
인구 증가 추세 따라 급수량 늘어
산단 개발 등 공업용수 사용 급증
폭염때 물 말라버린 하천·저수지
지하 보관하면 비교적 저장 용이


강릉지역의 극심한 가뭄피해 사태가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기후위기 여파로 빚어질 이상기후 현상에 경기도 역시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팔당호 취수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지하수저류댐 건설 등의 방법으로 취수원 다변화를 꾀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0일 국가가뭄정보포털의 가뭄 상황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생활용수 급수량은 2016년 13억6천920㎥에서 2023년에는 14억9천90㎥를 기록했다.

 

경기도 인구 증가 추세에 따라 급수량 또한 늘어난 셈이다.

 

게다가 산업단지 개발 등으로 공업용수의 사용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가 있는 파주시의 경우 2023년 기준 1일 사용량이 무려 11만8천300㎥에 달한다. 제조기업이 집중된 평택시도 1일 1만3천700㎥의 공업용수가 쓰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더해 국가 차원에서 조성 추진되고 있는 용인 반도체메가클러스터는 1일 170만㎥의 용수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돼(경기연구원) 용수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도도 취수원 다변화를 시도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019년 경기도지사 시절, 홍천강으로의 취수원 이전을 지시한 적이 있고, 경기연구원에 관련 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다만 취수원 다변화는 규제를 확산한다는 의미에서 주민 반발에 부딪힐 수밖에 없어 추진에 어려움이 있고, 관련 논의도 멈춰서 있다.

 

그렇다고 해당 문제를 마냥 손놓고 있을 순 없다. 지난 2015년 강수량이 평년의 53% 수준으로 줄어들며 팔당댐 건설 이후 처음으로 수도권에 제한급수를 검토한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관련 전문가는 “경기도는 자체 취수원이 사라지고, 광역상수도(팔당댐 등)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취수원 이전이 어렵다면, 한강 3개보의 물을 저수위에서도 취수할 수 있도록 취수구를 옮기는 방법도 하나의 대안”이라고 조언했다.

 

 

지하수저류댐도 대안이다.

 

현재 도내에는 양평군 양동면 일원에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이 진행 중이다.

 

환경부에서 추진중인 지하수저류댐은 수원이 불안정해 물 공급 문제가 우려되는 양동면 지역에 안정적으로 지하수원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이달 준공될 예정으로 이 댐이 완성되면 도내 유일의 지하수저류댐이 된다. 이 댐을 통해 하루에 1천㎥의 물을 끌어 쓸 수 있다.

 

지하수저류댐은 지하에 차수벽을 설치해 지하수 수위를 높여 이 물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천이나 저수지 같은 취수원은 폭염으로 인해 물이 말라버려 가뭄이 길어지면 곧바로 타격을 입지만, 지하수는 지하에 있기 때문에 증발 위험이 적다는 게 장점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하수저류댐은) 기존에는 섬 지역 위주로 지어졌지만, 가뭄이 심해지고 있어 내륙에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에서도 지하수저류댐 설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지하수저류댐을 도내에 더 설치할 곳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며 “후보지가 선정되면 경기도 제3차 지하수관리계획에 포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