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이 9월의 시작과 함께 춤과 음악으로 물들고 있다. 9년 만에 대전에서 열린 제34회 전국무용제가 한창 진행 중이며, 대전시립교향악단의 챔버 시리즈와 대전국악방송 개국 8주년 기념 공연도 잇달아 준비돼 있다. 전통과 현대, 무용과 음악, 전문 예술과 시민 참여가 교차하는 무대들이 이어지면서 대전은 도심 곳곳이 예술적 호흡으로 살아나는 현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대전의 문화예술을 채우는 무대들을 소개한다.



◇ 제34회 전국무용제: 전통과 창작 무대, 대전서 꽃 피워
지난 5일 개막한 제34회 전국무용제가 15일까지 대전 전역에서 이어진다. 9년 만에 대전에서 개최된 이번 무용제는 '대전, 춤으로 미래를 만나다'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단순한 무용 경연을 넘어 한국 무용예술의 현주소와 미래를 탐색하는 종합 예술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사의 시작은 대전시립미술관 분수광장에서 열린 개막식이었다. 오프닝 공연과 개막 선언을 통해 축제의 막을 올렸고, 이어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는 대전시립무용단과 대한민국 무용대상 수상팀 린킨아트가 무대에 올라 축하 공연을 선보였다.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공간을 넓힌 개막식은 대전이 문화도시로 지향하는 '열린 예술 공간'의 면모를 드러냈다.
이번 무용제의 핵심은 전국 16개 시·도 대표 무용단이 참가하는 단체·솔로 본선 경연이다. 서울을 제외한 각 지역 대표팀이 창작 무용 작품을 선보이며, 대통령상과 상금 2000만 원이 걸린 대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이 수여되는 금상 등을 두고 기량을 겨룬다. 대전광역시장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상 등 개인상과 안무상도 준비돼 있어 무용계의 명예와 자존심이 걸린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이번 주부터는 본격적인 경연 일정이 이어진다. 9일에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에서 경기와 경북 대표팀의 단체경연이 열리고, 10일에는 인천과 세종 대표팀이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무대에 오른다. 11일과 12일에는 대전예술가의 집 누리홀에서 솔로경연이 진행되며, 다음날 저녁부터 각 지역 대표단체가 잇따라 본선 무대를 선보인다. 주말인 13-14일에는 경남·강원, 제주·대구 대표팀이 경연을 펼치고, 마지막 날인 15일 오후 4시 대전시청 대강당에서는 시상식과 대회기 이양, 폐막선언으로 축제의 대단원을 마무리한다.
앞서 전국무용제는 본선 무대와 더불어 다양한 기획 공연과 부대 행사도 마련했다.
지난달 열린 '명작무극장'에서는 이주희 명인의 오북춤, 채향순 명인의 승무, 김매자 명인의 산조 등 한국 전통춤의 명작이 무대에 올라 전통의 깊이를 보여줬다. 'K-발레 월드스타 갈라'에서는 세계 무대에서 활약 중인 발레 스타들이 모여 고전과 현대 레퍼토리를 아우르는 무대를 선보였고, 지난 3일에는 대전 명인·명무전이 열려 대전 출신 명무들의 혼과 숨결이 관객들에게 전달됐다.
대전시는 이번 무용제가 단순히 11일간의 행사가 아니라, 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강화하고 국제적 예술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학·혁신도시라는 기존 이미지에 더해 문화와 예술의 무게를 더해줄 기회이기 때문이다.

15일 대전시청 대강당에서 열릴 폐막식에서는 수상작 시상과 함께 대회기 이양, 폐막 선언이 진행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전국무용제는 전국의 우수한 무용 예술을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무대"라며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잊지 못할 문화예술의 향연을 선사하겠다"고 밝혔다.

◇ 대전시향, 피아니스트 행진 박과 함께 가을의 낭만 서사
대전시립교향악단은 초가을의 정취와 어울리는 실내악 무대를 마련했다. 오는 11일 오후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에서 열리는 챔버 시리즈 3 '피아노와 실내악'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행진 박(Heng-Jin Park)이 객원 리더로 참여해 주목받고 있다.
행진 박은 미국 보스턴에서 성장하며 활발한 연주 활동을 이어온 연주자다. 보스턴 트리오의 멤버로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독주와 실내악, 교육과 기획까지 폭넓은 역량을 발휘해 왔다. 이번 무대에서도 행진 박은 섬세하면서도 힘 있는 터치로 연주자들과 호흡하며,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음악적 깊이를 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연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시대와 개성을 지닌 세 작곡가의 작품으로 구성됐다.
첫 곡은 프로코피예프의 '히브리 주제에 의한 서곡'으로, 유대 민요풍 선율을 바탕으로 클라리넷과 현악 4중주, 피아노가 어우러지는 곡이다. 단악장 형식이지만 다채로운 색채와 리듬으로 관객을 사로잡는다. 이어지는 무대는 모차르트의 후기 피아노 3중주로, 고전주의 음악의 성숙미와 창의성이 녹아 있는 작품이다. 피아노와 현악기의 조화로운 대화 속에 작곡가 특유의 생동감과 따뜻함이 살아 있다. 마지막은 슈만의 '피아노 4중주 내림마장조'가 장식한다. 서정적인 선율과 낭만적인 정서가 어우러진 이 곡은 네 악기가 서로 대화하듯 호흡하며, 청중에게 진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공연 예매는 대전예술의전당과 대전시립교향악단 홈페이지를 통해 공연 전일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 대전국악방송 개국 8주년 기념 공개 음악회 '꿀잼'
전통 연희의 흥겨움이 대전 시민을 기다린다. 대전국악방송 개국 8주년을 기념한 공개 음악회 '꿀잼'이 오는 17일 오후 7시 30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은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즐길 수 있는 전통놀이판으로 꾸며진다. 줄타기 명인 남창동이 약 3m 높이 줄 위에서 펼치는 아슬아슬한 기예와 해학 넘치는 입담이 공연의 문을 열고, 소리꾼 이윤아가 농부가와 방아타령 등 민요 무대를 통해 흥을 돋운다. 이어 연희집단 더 광대가 사자춤, 죽방울놀이, 버나돌리기, 열두 발 상모놀이를 선보이며 관객과 무대가 하나 되는 판굿으로 대미를 장식한다.
공연 예매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며, 문의는 국악원 내선번호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