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밀양·양산 등 동부경남이 인공지능(AI) 융복합 미래모빌리티, 수소 클러스터, 바이오메디컬 등 첨단사업 중심지로 육성된다.
경남도는 4일 오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동부경남 첨단산업 육성 전략’ 브리핑을 열고 2034년까지 5조7000억원(국비 1조2000억원, 지방비 1조1000억원, 민자 3조4000억원 등)을 투입해 6대 분야 112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동부경남은 가덕도신공항, 진해신항, 배후산업단지를 연결한 트라이포트 기반의 지리적 우위와 풍부한 인적자원·혁신역량을 바탕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도는 동부경남에 미래모빌리티, 바이오메티컬, 수소 등 신산업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해 첨단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이 전략을 통해 2021년 기준 29조8000억원이었던 동부권 지역내총생산(GDRP)을 2034년 41조1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동부권 앵커기업(선도기업)을 올해 23개에서 2034년 20개 늘어난 43개로, 기술기반 벤처기업을 올해 566개에서 2034년 1000개로 늘려 청년이 머무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동부경남 산업발전협의회를 구성해 지난해 6월부터 김해, 밀양, 양산 등 3개 시와 경남테크노파크, 경남연구원, 산업연구원 등과 첨단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했다.
도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에 핵심 과제를 반영시키거나 국가 공모사업 선정, 자체사업 등으로 재원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