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구름많음포항 23.5℃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순천 26.8℃
  • 구름많음홍성(예) 29.6℃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김해시 29.1℃
  • 흐림구미 27.3℃
기상청 제공
메뉴

(경남신문) 현금 쓰고 노인 많은 전통시장 ‘그림의 떡’

[21일부터 ‘민생쿠폰’ 신청] 도내 12개 시군 ‘지류형’ 미발급

경남도 18개 시군 중 12곳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역사랑상품권을 지류형(종이형)으로 발급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실물화폐 사용률이 높은 지역 전통시장은 소비 진작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오는 21일부터 신청 가능한 민생회복지원금은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받을 수 있다. 그 중 지역사랑상품권은 지류형과 모바일형, 카드형으로 나뉘는데, 경남 18개 시군 중 창원·진주·통영·사천·김해·밀양·거제·양산·함안·산청·거창·합천 등 12개 시군은 지류형을 발급하지 않는다.

 

이에 전통시장에서는 지류형 없이는 민생회복쿠폰의 혜택을 누릴 수 없다는 불만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오전 창원시 의창구 지귀시장에서 어묵을 팔고 있던 김동백(60)씨는 “시장을 찾는 이용객들은 대부분 60대 이상의 고령자라 모바일 형태의 쿠폰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는 20여년째 장사를 하고 있다면서 “상인들도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경험해 보지 않은 분들이 다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상인 이모(32)씨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전통시장에서 모바일 형태의 상품권을 쓰기 어렵다고 인지하고 있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시장 밖에서 쓸 것 같다”며 “그렇게 되면 전통시장 상인들은 상대적으로 더욱 큰 어려움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시장을 둘러보던 안모(73)씨는 “시장 이용객들은 대부분 카드도 잘 쓰지 않는데, 모바일 상품권만 지급하면 전통시장은 혜택을 받기 어렵다”며 “인구가 1000만이 넘는 서울도 지류형 상품권을 지급한다고 했는데, 창원시가 그러지 못하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고 혀를 찼다.

 

진보당 창원지역 각 위원회는 이날 지귀시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의 지류형 민생회복쿠폰 발행을 촉구했다.

 

진보당은 “정부는 지류형의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할 수 있다고 안내했는데, 창원시는 무책임한 결정으로 기대를 무너트렸다”며 “전통시장 노점상들은 종이 소비쿠폰 없이는 사실상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생을 살리자는 정부의 취지에 맞게 창원시는 조속히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류 형태로 발급하라”고 촉구했다.

 

창원시는 지류 형태를 발행하지 않는 이유로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기간이 빠듯해 준비가 어려웠던 점과 수기로 지급해야 해 인건비 등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또 지류로 지급할 때 소비기한 내 사용을 강제할 수 없는 사정도 있다고 덧붙였다.

 

창원시 자치행정과 관계자는 “지류형 상품권을 주문해도 발행까지 6~7주가 걸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맞춰서 줄 수 없는 상황이다”며 “소비쿠폰은 11월 말까지 의무적으로 쓰는 게 취지인데, 사용 기간이 끝났을 때 모바일 형태의 상품권은 환수가 가능하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