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도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광역시도 중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사업 부진’을 이유로 폐업한 사업자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나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이 자영업자들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8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는 전국 기준 100만8282명이며 경남에서는 5만6368명(5.5%)이 폐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국 폐업자 수는 사상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광역시도 중 폐업자 수 1위인 지역은 부산광역시(5만9164명)로 경남과 2796명 차이다.
경남 폐업 사유별로는 ‘사업 부진’이 2만9140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내 전체 폐업자 수의 51.7%를 차지한다.
사업 부진 폐업자는 2023년에 3871명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도 582명 증가하면서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사업 부진’ 다음으로는 ‘기타’ 사유가 2만4893명으로 많았다. 이 밖에 양도·양수(1900명), 법인 전환(184명), 해산·합병(107명), 행정처분(83명), 계절 사업(56명), 면세포기·적용(5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폐업자는 내수 밀접 업종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인다. 전체 업종 가운데 지난해 도내 소매업 폐업자가 1만4681명으로 전체의 26.5%를 차지했다. 이어 음식점업(20.0%), 서비스업(19.9%) 순으로 비중이 컸다. 소매업과 음식점업을 합하면 전체의 약 46.5%에 달한다.
지난해 건설경기 불황에 건설업 폐업자도 2961명을 기록해 5.2%에 달했다. 이는 전국 기준 4.9%보다도 높은 수치다.
전국적으로 신규 사업자 수도 줄고 있다. 2020년 151만9284명에서 지난해 121만7660명으로 19.8% 감소하면서 5년 내내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경남에서도 2020년 7만6872명에서 2024년 6만3793명으로 5년 사이 한 번의 증가도 없이 17.0% 하락했다.
이 같은 폐업자 수 증가세와 신규사업자 수 하락세는 내수 경제가 침체된 데다 고금리에 소비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 크다고 분석된다.
박영근 창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해외 여행·직구 등 국외에서 소비하는 경향이 늘었다”며 “국내에서 돈이 돌지 않아 내수 경제도 어려운 데다 자영업자 수는 많고, 물가도 올랐다. 이런 부분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영철 경남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원래 잘 되던 가게도 매출이 안 나오는데 신규 사업은 엄두도 못 낸다”며 “건설, 부동산 다 어려우니 자연스레 소비도 줄어든다. 소비 심리를 이끄는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