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강릉 1.3℃
  • 서울 3.2℃
  • 인천 2.1℃
  • 흐림원주 3.7℃
  • 흐림수원 3.7℃
  • 청주 3.0℃
  • 대전 3.3℃
  • 포항 7.8℃
  • 대구 6.8℃
  • 전주 6.9℃
  • 울산 6.6℃
  • 창원 7.8℃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순천 6.7℃
  • 홍성(예) 3.6℃
  • 흐림제주 10.7℃
  • 흐림김해시 7.1℃
  • 흐림구미 5.8℃
기상청 제공
메뉴

(광주일보) 인구 고령화·시설 노후화…老老광주

건축물 절반 이상이 30년 이상
도로·상수도 등 시설은 더 심각
사람도 건물도 늙어 가는데
도심 노후화 대책 엄두도 못 내

 저출산에 따른 광주시민의 고령화 속도 이상으로 ‘도심 노후화’도 빠르게 진행되면서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노후한 상수도 시설 고장으로 대규모 단수( 斷水) 사고까지 발생함에 따라 도심 노후화에 대비한 종합적인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광주시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아파트) 1202단지 44만 8722세대 중 20년 이상 된 아파트는 712단지 23만9840세대로, 세대 기준 53%다. 30년 이상으로 압축하면 345단지 8만 4127세대(19%)로, 5세대 중 1세대 꼴이다.

 

아파트를 제외한 광주지역 건축물(주거·상업·공업용 등)의 노후화는 더 심각하다. 전체 13만8328동(주거용 9만2177동) 가운데 20년 이상된 노후 건축물은 9만9647동으로 72%를 차지하고,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은 7만6289동으로 전체의 55%에 이른다.

노후 건축물은 전기시설 노후 등에 따른 화재나 누전사고는 물론 붕괴사고 등에도 취약한 탓에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한 예로 건축된 지 30년이 넘어선 광주시 북구 양산동의 한 아파트 상가 옥상에는 2만2900V의 고압이 흐르는 3.5t짜리 전기시설물(변압기)이 설치된 이후 20년 넘게 방치돼 상가 입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현장을 둘러본 전기시설 전문가는 “대형 고압 변압기(3.5t)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와 진동으로 노후한 건물 곳곳에 금이 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 도심 여러 건물들에 유사사례가 많다”면서 “심각한 안전사고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도로 등 공공시설물의 노후화도 심각한 수준이다. 아스팔트 도로는 개설 이후 주로 덧씌우기 공사만 반복하다 보니, 매년 포트홀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광주시가 최근 3년간 도심 도로 노후화 등으로 발생해 정비한 포트홀만 4만 5000곳에 이른다. 지난해 3월에는 하루 동안 100건이 넘는 포트홀 관련 차량 타이어 파손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땅속 시설물의 노후화는 더 심각하다.

지난달 대규모 단수를 초래한 덕남정수사업소 유출 밸브도 1994년 정수장 준공과 함께 설치돼 30년이 다 된 노후시설로, 11년의 사용 가능 기간(내용연수)을 두 배 이상 넘겨 사용하다 결국 고장이 났다.

덕남정수사업소와 함께 1985년 준공된 용연정수사업소에도 40년 가까이 된 노후 유출 밸브가 설치돼 있다. 광주 도심 지하에 깔린 수도관 4046㎞ 가운데 절반이 20년 이상 된 노후관으로, 연일 크고 작은 누수 사고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땅속을 달리는 도시철도(1호선)도 2004년 개통 이후 20년 가까이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노후 차량과 설비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 등이 커지고 있다. 운영 중인 차량 23대 중 13대는 2002년식으로 20년을 넘겼고, 나머지 10대도 2006년식으로 노후화가 진행 중이다. 특히 검사장비 86종 106대(2005~2009년식)의 노후화도 심각해 지난 3년간 48건의 수리·수선이 진행되기도 했다.더 큰 문제는 노후화한 장비를 수리하고 싶어도, 관련 부품 등이 단종돼 직접 만들거나 주문 제작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각종 도시재생사업과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지원사업 등에 나서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건축물 대부분이 개인소유인데다 공공시설물의 노후화를 막기 위한 예산도 턱없이 부족해 도시 전반에 걸친 노후화 대책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반면 서울과 경기, 대구 등은 민선 8기 들어 도시 노후화 해결을 위한 ‘그랜드 플랜’을 발표하는 등 미래를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재철 광주전남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지난 40년 동안 광주발전 전략이 물리적 인프라 확충을 통한 지역성장과 발전이었다면, 이제는 오래된 도심을 재정비하고 가꾸는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면서 “도심 노후화를 이대로 방치 한다면, 시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안전사고 발생은 물론 지역 미래성장과 발전을 가로막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많이 본 기사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