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이송희레퍼터리의 '객사'가 제42회 대구연극제에서 대상을 수상하면서 오는 7월 인천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연극제에서 대구 대표로 참가하게 된다. 대구연극협회는 30일 오후 8시 30분 봉산문화회관 가온홀에서 제42회 대구연극제 및 제4회 더파란연극제 시상식 및 폐막식을 열고 부문별 수상자를 발표했다. 대구연극협회가 주최·주관하는 대구연극제는 29일, 30일 양일간 달서아트센터 청룡홀과 봉산문화회관 가온홀에서 각각 열렸으며 극단 헛짓과 이송희레퍼터리 두 극단이 참여했다. 대상을 수상한 연극 '객사'는 경북 칠곡 지역을 배경으로 경상도 동학농민운동을 주도하던 남편이 처형되고 자식들을 지키기 위해 노비 '판돌'과 가족을 이룬 양반가 출신 '벽순' 일가의 이야기다. 심사위원단은 "칠곡 향교와 일제(日帝) 신사라는 상징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와 일제 그늘을 대조적으로 드러내며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부분과 양반들의 위선을 고발하는 작품이다"라며 "배우들의 노련한 연기와 앙상블 연기가 잘 드러났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극단의 대표이자 '판돌' 역으로 열연을 펼친 이송희는 "연극은 종합 예술인것처럼 많은 사람들의 땀과 참여가 있어 좋은 성과가 있었던 것 같다"라며 "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집행위원장 배성혁)은 경북예술고등학교(교장 장진경)와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차세대 공연예술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내 공연예술 교육의 질적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뮤지컬 인재 양성에 나선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프로그램 공동 개발, 예술 분야 전문가 멘토링 지원 등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운영하고 교류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 및 실습 기회를 확대하고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특히, 경북예고에 새롭게 신설된 뮤지컬연기학과 학생들이 DIMF 현장에서 실습과 멘토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펼치고, 학교 측은 전문 예술교육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데 협력할 계획이다. 협약식에는 배성혁 DIMF 집행위원장, 장진경 경북예고 교장, 신철원 학교법인 협성교육재단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배성혁 DIMF 집행위원장은 "전통 있는 경북예고에 뮤지컬연기과가 신설된 것은 지역 인재 유출을 막고 뮤지컬 도시로서 대구의 입지를 강화하는 의미 있는 신호탄이다"며 "DIMF의 글로벌 축제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국제 무대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하 DIMF)이 2025 뮤지컬 인큐베이팅사업 리딩공연 선정작 5편을 발표했다. 이번 인큐베이팅사업 리딩공연은 개발 초기 단계의 신작 뮤지컬을 지원하는 DIMF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지역의 창의적이고 잠재력 있는 신작을 발굴·지원해 완성도를 높이고 초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올해 선정된 작품들은 전통과 현대, 판타지와 현실, 가족애 등 폭넓은 소재를 참신한 방식으로 담아내 뮤지컬 장르의 다양성을 확장하고 지역 공연계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정된 5편의 작품은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처받은 이들에게 치유와 위로를 전하는 '릴라 씨의 인형가게' ▷심청전과 별주부전을 새롭게 각색해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이야기하는 '심청이와 별주부, 바다를 구하라!' ▷현대 2030세대의 연애 문제를 담아낸 로맨틱 코미디 '운명의 붉은 실' ▷정신병원에 갇힌 비운의 천재 조각가 카미유 클로델의 삶과 내면세계를 그린 '카미유 클로델' ▷조선시대 명현, 탁영 김일손의 거문고를 의인화해 음악과 인생을 깊이 있게 풀어낸 '탁영금'이다. 선정된 작품들은 오는 6월 20일 개막하는 제19회 DIMF 기간 중 3~40분 내외의 리딩 공연 형태
대구 수성구는 공예상품 개발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한민국 문화도시 대구 수성, 2024 공예상품 공모전' 수상작을 발표했다. 대상에는 장인성, 이재호 씨의 '수성의 상징을 담다'가 선정됐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5월 10일부터 6월 27일까지 49일간 공모를 통해 지역의 상징, 명소, 역사·문화자원 등을 모티프로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융합한 작품을 접수 받았다. 구는 전문가 심사를 통해 출품작 56점 중 최종 23점을 선정했다. 대상에는 장인성, 이재호 씨의 '수성의 상징을 담다'가 선정됐다. 이 작품은 금속(은)과 나무(대나무), 보석을 융합해 대구 수성구를 상징하는 은행나무, 장미꽃, 수성못 오리배, 영남제일관의 이미지를 표현한 식기세트이다. 단아하고 서정적이면서도 차별화된 디자인이 돋보이고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사용 가능하게 제작됐다. ▷최우수상(1점)엔 신선미 씨의 '오색찬란 수성 나전칠기 연잎잔' ▷우수상(2점)엔 문규현 씨의 '수성구 로고 악세사리함', 허성아 씨의 '행복수성 키링' ▷장려상(4점)엔 '수성못 둥지섬 병따개', '수성못 100년된 왕버드 나무 조명등', '왜가리은행잎문 청화백자 막걸리주병세트', '수성구 패턴을 활용한 메신저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