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9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대출금리 오름세는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번 코픽스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분석과 함께 향후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등이 이어지면 대출금리 오름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전망에서다. 20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올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64%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인 지난해 12월(1.69%)보다 0.05%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전월대비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하락세로 접어든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9개월 만이다. 코픽스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SC제일·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상승 또는 하락하는 만큼 은행이 대출금리를 정하는 지표가 된다. 통상적으로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은행들도 예·적금 등 수신금리를 올리면서 그 인상분이 코픽스에 반영되고, 이후 대출금리로 상승 반영되는 과정을 거친다. 다만 지난달 14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음에도 올
원자재 값 상승 등의 여파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주요 외식물가까지 널뛰고 있다. 자장면과 김치찌개 백반 등 대표 서민음식은 물론 주요 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올리는 등 외식비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한 번 오르기 시작한 외식물가는 다달이 오름폭을 키우면서 서민가계 부담을 더하는 부분이다. 1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 1월 대전지역 기준 대표 외식 품목 8개 가격이 1년 전보다 모두 올랐다. 이 중 한 줄에 2400원하던 김밥은 1년 새 2600원으로 가격이 뛰면서 8.3%의 인상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삼겹살과 자장면도 각각 1만 5933원, 5400원에서 1만 7117원, 5800원으로 올라 7.4% 인상됐다. 자장면(3.6%)과 삼겹살(3.2%), 칼국수(3.2%), 김치찌개 백반(3.0%), 삼계탕(1.5%) 등 5개 품목은 한 달 전과 비교해도 가격이 오른 상태다. 더욱이 삼겹살의 경우 지난해 10월(1만 6133원)부터 11월(1만 6383원), 12월(1만 6583원), 올해 1월(1만 7117원)까지 가격이 네 달 연속 오름세다. 식재료 가격이 줄줄이 오르는 데 더해 인건비 등 부대비용까지 외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