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경상권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총 1조818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복구비용으로 1조880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모두 역대 최대 규모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2일 심의를 거쳐 지난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경남과 경북,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액과 복구비를 확정했다.
이번 산불은 사망 31명, 부상 156명 등 총 18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또 10만4000㏊의 산림이 소실됐다. 이는 산불 피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최대 규모다.

지역별로는 경북 안동이 3010억원으로 피해액이 가장 컸다. 이어 경북 청송(2505억원), 경북 영덕(2319억원), 경북 의성(2096억원), 경북 영양(573억원) 순으로 컸다. 경남 산청은 216억원, 하동은 70억원이다. 울산 울주는 25억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22일 산불이 발생한 경남 산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어 24일에는 하동과 울산 울주, 경북 의성이 추가됐고, 27일 경북 안동·청송·영양·영덕으로 확대됐다.
이번 경상권 산불로 사유시설은 △주택 3848동 △농어업시설 6106건 △농기계 1만7158대 △농·산림작물 3419㏊ 등에 피해를 입었다. 공공시설은 국가유산, 전통사찰, 도로시설 등 총 796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복구비는 사유시설 4954억원, 공공시설 1조3855억원 등 총 1조8809억원으로 결정됐다. 가장 피해가 컸던 경북 안동은 5088억원이 투입된다. 경남 산청은 313억원, 하동은 72억원이 투입된다.
피해지역 주민 등을 위한 중점 지원사항은 △주택 피해 최소 1억원 이상 지원 △농업분야 지원단가·지원율 상향·확대 △이재민 주거 안정을 위한 중장기적 지원 △소상공인·중소기업 생계안정 지원 등 4가지다.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조치도 이뤄진다. 신속한 복구가 필요한 곳은 여름철 전 응급복구를 완료한다. 사면 안정화 등이 필요한 지역은 우선순위를 정해 내년까지 산사태 예방사업을 끝마칠 계획이다.
훼손된 산림은 입지 특성에 따라 자연복원과 조림복원 등 장단점을 고려해 복원 방법을 결정해 조치할 계획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계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이 발생한 만큼 실질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산불 피해지원 대책을 마련했다”며 “재난대책비를 각 지자체에 신속히 교부해 피해 당사자와 현장에 지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