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0.5℃
  • 맑음서울 13.9℃
  • 맑음인천 14.4℃
  • 맑음원주 11.9℃
  • 맑음수원 11.6℃
  • 맑음청주 13.3℃
  • 맑음대전 10.1℃
  • 맑음포항 16.4℃
  • 맑음대구 14.0℃
  • 맑음전주 10.9℃
  • 맑음울산 13.0℃
  • 맑음창원 14.1℃
  • 맑음광주 12.1℃
  • 맑음부산 15.6℃
  • 맑음순천 7.2℃
  • 맑음홍성(예) 10.0℃
  • 맑음제주 14.6℃
  • 맑음김해시 14.2℃
  • 맑음구미 11.8℃
기상청 제공
메뉴

(대전일보) '우주 3각체제' 확정…'연구·인재개발' 대전, 국가 미래성장 이끈다

대전시 지정 유력…"막강한 인프라 + 대전시 노력 등 어우러진 결과"

우주산업클러스터 3각 체제에 청신호가 켜지며 대전의 연구·인재개발분야 특화지구 선정이 사실상 유력해졌다. 대전은 향후 4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방위산업과 우주산업을 연계해 실질적인 국가미래성장의 엔진으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지난 7일 연구·인재개발분야 특화지구를 추가로 지정하는 내용의 우주산업 협력지구(클러스터) 계획 수정안을 원안 의결했다.

이미 2축 체제를 발표한 상황에서 3각 체제로 전환이 이어진 데에는 대전의 강력한 우주 관련 연구 및 인재개발 인프라와 이른바 대전시의 '자강(自强)' 등이 어우러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대전은 KAIST, 충남대 등 다수의 대학에서 우주관련 전문 교육이 이뤄지고 있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인공위성 분야 전문 연구기관이 집적해있다.

특히 쎄트렉아이 등 우주관련 기업이 60여개(2020년 12월 기준)로, 수도권 제외 최다 기업이 포진해 있다. 차별화된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연구개발 및 인재양성 기능에 특화된 셈이다.

여기에 이른바 대전시의 정치·행정적 '자강'도 힘을 받으며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는 해석이다.

앞서 과기부는 경남과 전남을 우주산업클러스터 후보지로 결정하면서 '대전 패싱' 논란이 또다시 고개를 들었다. 타 시도에 비해 유독 패싱이 잦았던 대전이 또다시 미래 먹거리 선점에 실패하자 지역 정치권을 향한 책임론 등이 제기된 것이다. 나아가 이장우 대전시장의 정치력에 대한 의구심마저 제기되던 상황이었다.

이장우 시장은 지난 8월 우주산업클러스터 대전 패싱 논란과 관련해 "중앙정부의 정책에 기대 도시의 흥망성쇠를 좌우해선 안된다"며 "독자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좌고우면하지 말고 일관되게 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의 결정에만 집중하지 않는 정치·행정에서의 '자강'을 강조한 셈이다.

이에 대전시는 이 시장의 지휘 아래 경남과 전남이 우주산업클러스터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및 최상목 경제수석 등 대통령실 관계자와 이종호 과기부 장관에게 우주산업 클러스터가 대전과 전남, 경남 3각 체제로 조성돼야 우주산업이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8월 3일 개최됐던 국민의 힘 예산정책협의회에서도 권성동 당시 원내대표를 비롯한 여당 의원들에게 대전시 입장을 전달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러한 노력은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연구·인재개발분야 우주산업 클러스터 추가 지정 공언으로 쐐기를 박았다.

윤 대통령의 이날 공언은 향후 우주산업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대전의 인프라는 선택지가 아닌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을 정부차원에서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단지 정권 교체에서 비롯된 정치적 판단이 아닌, 우주산업이란 거대한 국가적 과제 달성과 미래성장 동력 마련이란 차원에서 결정됐다는 의미다.

결국 정부는 위성특화지구(경남), 발사체특화지구(전남) 2축 체제에서 연구·인재개발을 담당할 특화지구 조성을 추가해 3각 체제로서 우주산업 추진의 완전체를 구축하겠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나아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축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는 데 무게가 실린다.

앞으로 우주산업클러스터 대전 포함 3각 체제 구축까지는 후보지 선정과 사업계획서 검토, 국가우주위원회 심의 등 절차가 남았다.

우수한 연구·교육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전이 미래 우주산업 분야의 기술·인력 개발과 기업 육성을 추진함으로써 국가 우주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동력이 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