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강릉 22.2℃
  • 맑음서울 17.6℃
  • 흐림인천 16.0℃
  • 맑음원주 17.7℃
  • 맑음수원 17.8℃
  • 맑음청주 17.9℃
  • 맑음대전 17.8℃
  • 맑음포항 21.8℃
  • 맑음대구 21.3℃
  • 맑음전주 20.0℃
  • 맑음울산 21.5℃
  • 맑음창원 21.8℃
  • 맑음광주 17.6℃
  • 맑음부산 20.9℃
  • 맑음순천 18.7℃
  • 맑음홍성(예) 18.6℃
  • 맑음제주 21.5℃
  • 맑음김해시 21.3℃
  • 맑음구미 20.9℃
기상청 제공
메뉴

(부산일보) 사전투표 하루 전 윤-안 극적 단일화…‘박빙’ 판세 뒤집을까

3·9 대선의 최대 변수인 야권 후보 단일화가 사전투표 하루를 앞둔 3일 극적으로 현실화됐다. 국민의힘 윤석열,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가 이날 ‘원팀’을 선언하며 윤 후보로의 단일화를 전격 발표하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윤 후보의 ‘박빙’ 양상이던 판세가 또 한번 요동칠 전망이다. 관건은 단일화 효과다.

 

일단 투표용지 인쇄가 이미 끝난 데다 단일화 시기도 상당히 지연됐다는 점에서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단일화를 둘러싼 양측의 갈등으로 단일화 이슈에 대한 피로도 역시 높아진 상황이다. 실제 지난달 27일 안 후보의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나온 다수 여론조사에서 단일화로 인한 지지율 상승 효과는 예상하긴 쉽지 않다. 2일 발표된 미디어리서치·OBS 조사(2월 28일~3월 1일, 1000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만 해도 다자대결에서 이 후보 45%, 윤 후보 44.9%인 지지율은 안 후보의 단일화를 가정한 가상 양자대결에서도 이 후보 46.8%, 윤 후보 46.4%로 지지율 격차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여기에 단일화 결렬과 함께 완주를 선언한 이후에도 안 후보의 지지율은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5~7%대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단일화가 사실상 무산됐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도 안 후보 지지층의 윤 후보 ‘쏠림’이 가시적으로 드러나진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윤, 두 후보가 다수 조사에서 1~2%의 초박빙 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점에서 안 후보의 중도 사퇴는 어느 쪽으로든 승부의 추를 기울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와 관련, 한국정당학회가 여론조사 기관인 에스티아이에 의뢰해 지난달 19~25일 2100명, 지난 17~24일 17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 2차 패널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3%P) 결과를 보면 해당 기간 동안 안 후보 지지에서 이탈한 응답자의 16.7%는 윤 후보로, 7.9%는 이 후보로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2대 1 비율이다. 안 후보 지지층의 성향 분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지표다. 만약 안 후보가 사퇴한 이후 5~7%대인 안 후보 지지층이 비슷한 비율로 이동할 경우 윤 후보로서는 상당한 지지율 상승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여야 모두 승부처로 여기는 부산·울산·경남(PK) 등에서 단일화 효과가 클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부산일보>를 포함한 한국지방신문협회(한신협)의 3차 여론조사(지난달 26~3월 1일, 부산 거주 남녀 436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P)에서 윤 후보 지지율은 48.4%로 이 지역 ‘정권 교체’ 지지층 55%에 못 미쳤다. 반면 부산 출신인 안 후보의 PK 지지율은 8.3%로 전국 지지율 7.3%보다 소폭 높았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단일화 결렬 선언 이후 안 후보를 안지 못 하는 윤 후보에 대한 실망감 때문에 이 지역 야권 지지층의 반감이 적지 않았다”면서 “많이 늦었지만 두 사람이 ‘원팀’을 선언한 만큼, PK에서는 윤 후보가 안 후보 지지층의 상당 부분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실제 <부산일보>·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지난달 19~20일, 부산 거주 1000명,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3.1%P)에서 국민의힘 지지층 중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61.1%였고, 실제 단일화를 가정한 후보 지지율 조사에서 윤 후보는 다자대결 때보다 단일 후보가 됐을 때 3.2%P 지지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