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확장·시설개선 요청 모두 제외
가덕도·새만금신공항 지역 요구 대부분 반영된 것과 대조
강원지역의 유일한 국제공항인 양양공항과 한 해 15만명 가까이 이용하는 원주공항이 여전히 ‘찬밥 신세'다. 이곳 모두 정부의 공항개발정책에서 제외돼 한 단계 도약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공고한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안(2021~2025년)에 따르면 강원도가 요청한 양양국제공항 확장, 원주공항 시설개선 계획이 모두 빠졌다. 이에 따라 양양공항과 원주공항의 확장 사업은 향후 5년간 추진이 불가능하다.
현재 양양국제공항의 경우 화물터미널 신축과 평행유도로 건설, 계류장 및 국제선 입국장, 주차장 확장 등 3,000억원대 확장을 추진 중이다.
원주공항 역시 영서 거점 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해 여객청사 신축, 활주로 및 계류장 확장, 겨울철 민간항공기 운행의 필수인 제방빙장 설치 등 1,000억원대 시설개선을 정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정부의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안에 양양국제공항의 개발계획은 언급조차 없으며 원주공항 시설개선은 추가 검토가 가능한 사업으로 분류됐다.
반면 가덕도신공항과 새만금신공항 건설 계획은 지역의 요구가 대부분 정부 계획에 반영됐다.
강원도는 우선 시급한 양양공항 국제선 입국장 확장과 원주공항 제방빙장 설치만이라도 국비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나 공항개발 종합계획안 반영 불발로 국비 확보도 사실상 물 건너갔다.
국토부의 전망대로라면 원주공항의 경우 2025년 연간 14만명 이상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돼 시설개선 수요가 충분하지만 기능 확대가 어려워졌다.
양양공항은 2025년에도 여전히 연간 이용객 3만명, 2030년에는 5만명에 불과할 것으로 보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화물처리 능력 확보 등 체질개선이 절실하다.
정부는 강원지역 공항의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강원도 차원의 교통정리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횡성에 소재한 원주공항의 경우 현재 국방부의 규제를 받고 있어 확장 시 원주지역 이전까지 고려해야 하지만 지역 간 협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또 오랫동안 활용이 미미했던 양양공항은 대규모 투자를 위해서는 플라이강원을 통한 공항 이용 실적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 국토부의 입장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6차 공항계획의 경우 강원도의 요청사항을 관철시키기 위한 시간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며 “2025년 이후 반영될 7차 계획에는 양양공항의 운항 실적을 확보할 수 있고 원주공항도 국방부, 해당 지역과의 협의를 통해 반영을 노려볼 수 있다”고 밝혔다.
최기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