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제주지역 LPG(액화석유가스) 충전소들이 프로판 가스 가격을 인상하거나 인상을 추진해 서민생활 물가 안정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14일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가스판매업협동조합에 따르면 A충전소는 가정과 식당에 공급하는 LPG가스 가격을 지난달 1일부터 1㎏당 100원 인상했다.
B충전소도 이달 1일부터 100원 인상했다. C충전소는 내년 1월 1일에, D충전소는 내년 2월 1일에 100원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4곳의 충전소는 SK가스, 에쓰오일(S-oil), E1 등 3곳의 대기업 정유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다.
그런데 이들 정유사는 지난 11월 가정·상업용 LPG가격을 1㎏에 784~786원으로 동결했다. 이달 들어 일부 정유사가 44원을 인상했을 뿐이다.
그럼에도 도내 충전소 업계가 100원을 인상하면서 50㎏ 용기의 프로판 가스를 쓰는 식당은 5000원, 20㎏들이 가스를 사용하는 가정은 2000원을 더 내게 됐다.
코로나19로 음식점에는 불황의 그늘이 짙게 드리운 가운데 가스 요금 인상에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충전소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가정과 식당에 배달하는 도내 100여 곳의 판매점도 울상이다.
20㎏들이 가정용은 3만9000원~4만원, 50㎏들이 업소용은 10만원 대인데 소비자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서다.
도내 LPG 공급은 대기업 정유사(3곳)→충전소(4곳)→판매점(100여 곳)으로 이어진다. 제주지역의 연간 LPG 공급량은 20만t으로 충전소에서 ㎏당 100원을 올리면 연간 총 이득금은 200억원에 달한다.
더구나 전국 17개 시·도 충전소 가운데 제주지역에서만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는 도내 충전소에서 ㎏당 100원을 인상한 것과 관련, 가격 담합 의혹이 제기되면서 향후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LPG 가격 인상에 앞서 담합이 있었다는 공익신고가 접수됐다”며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이 나오면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격 인상에 대해 도내 충전소 한 관계자는 “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직원을 2배 가량 더 채용해야 하고, 내년부터 주 52시간 근무 확대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공급가 인상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 3월부터 제주시지역 2만7000가구에 도시가스(LNG)가 공급되면서 LPG업계는 위기에 처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좌동철 기자
14일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가스판매업협동조합에 따르면 A충전소는 가정과 식당에 공급하는 LPG가스 가격을 지난달 1일부터 1㎏당 100원 인상했다.
B충전소도 이달 1일부터 100원 인상했다. C충전소는 내년 1월 1일에, D충전소는 내년 2월 1일에 100원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4곳의 충전소는 SK가스, 에쓰오일(S-oil), E1 등 3곳의 대기업 정유사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다.
그런데 이들 정유사는 지난 11월 가정·상업용 LPG가격을 1㎏에 784~786원으로 동결했다. 이달 들어 일부 정유사가 44원을 인상했을 뿐이다.
그럼에도 도내 충전소 업계가 100원을 인상하면서 50㎏ 용기의 프로판 가스를 쓰는 식당은 5000원, 20㎏들이 가스를 사용하는 가정은 2000원을 더 내게 됐다.
코로나19로 음식점에는 불황의 그늘이 짙게 드리운 가운데 가스 요금 인상에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충전소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가정과 식당에 배달하는 도내 100여 곳의 판매점도 울상이다.
20㎏들이 가정용은 3만9000원~4만원, 50㎏들이 업소용은 10만원 대인데 소비자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서다.
도내 LPG 공급은 대기업 정유사(3곳)→충전소(4곳)→판매점(100여 곳)으로 이어진다. 제주지역의 연간 LPG 공급량은 20만t으로 충전소에서 ㎏당 100원을 올리면 연간 총 이득금은 200억원에 달한다.
더구나 전국 17개 시·도 충전소 가운데 제주지역에서만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는 도내 충전소에서 ㎏당 100원을 인상한 것과 관련, 가격 담합 의혹이 제기되면서 향후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LPG 가격 인상에 앞서 담합이 있었다는 공익신고가 접수됐다”며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이 나오면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가격 인상에 대해 도내 충전소 한 관계자는 “난방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에는 평소보다 직원을 2배 가량 더 채용해야 하고, 내년부터 주 52시간 근무 확대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 공급가 인상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 3월부터 제주시지역 2만7000가구에 도시가스(LNG)가 공급되면서 LPG업계는 위기에 처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좌동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