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이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미국 필라델피아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건조된다.
한국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개적으로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달라”고 요구한 지 하루 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군사동맹은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다. 그것에 기반해 나는 한국이 현재 보유한 구식이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디젤 잠수함 대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내지 보완과 미국의 기술 지원 및 연료 공급 등이 수반될 필요가 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승인’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국은 핵추진 잠수함을 바로 여기 훌륭한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필리조선소)에서 건조할 것”이라며 “미국의 조선업은 곧 대대적인 부활(Big Comeback)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그룹이 작년 12월 인수한 필리조선소는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 8월 양국 조선산업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의 일환으로 필라델피아 조선소에 50억달러(7조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상무부는 지난 14일 필리조선소를 비롯한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 5곳을 자국 기업과 거래가 금지되는 제재 목록에 올림으로써 한미 조선협력에 강력한 견제구를 던진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에서의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언급한 것은 중국의 견제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미 무역 합의와 관련, “한국은 미국이 부과하던 관세를 인하받는 대가로 미국에 3500억달러(약 500조원)를 지불(pay)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미국산 석유와 가스를 대량 구매하기로 했으며, 한국의 부유한 기업들과 사업가들이 미국에 투자할 금액은 6000억달러가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전날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의 핵심 쟁점인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금과 관련해 2000억달러를 직접 현금 투자하되 연간 투자 한도를 200억달러로 제한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나머지1500억달러는 조선업 협력 투자금으로, 한국 기업 주도로 투자하고 투자 외에 보증도 포함하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