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석 선물 보따리'를 풀었다.
명절 성수품 할인부터 여행상품 쿠폰, 서민금융지원까지, 얇은 지갑으로도 풍성한 한가위를 맞이할 수 있는 종합대책을 선사했다.
당정은 15일 '추석 민생안정대책 당정협의'를 열고 주요 성수품에 대한 공급을 최대한 늘리는 등 가용 수단을 총동원해 가격 안정을 꾀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명절 체감 물가가 가장 높은 '성수품'에 초점을 맞췄다. 사과·배·한우·계란 등 15대 성수품 공급량을 추석 3주 전부터 평시대비 1.6배 확대 공급한다. 또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 원을 투입해 최대 40% 할인하는 농축산물 할인 지원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 추진한다. 농축협은 과일, 축산물, 전통주, 홍삼 등으로 구성된 민생선물세트 94개 제품을 최대 53% 할인 공급하고, 중소과 선물세트와 10만원 이하 한우 선물세트 공급도 확대한다.
특히 쌀 가격 안정을 위해 양곡 2만 5000t을 추가 공급하고, 취약 계층에는 정부 양곡을 20% 추가 할인해 10㎏당 8000원에 공급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생산자 단체, 유통업체, 식품 업계와도 긴밀히 협력해 정부 지원 대상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체 할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긴 연휴 기간 지방의 내수를 활성화시킬 정책도 내놨다.
연휴 기간인 10월 4일부터 7일까지 고속도로 통행료를 모두 면제한다. 2∼12일에는 인구 감소지역 철도 여행 상품을 50% 할인한다. 정부는 31개 특별재난지역 숙박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15만 장을 쏟아낸다. 7만 원 이상 숙박상품은 5만 원, 그 미만은 3만 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교통·숙박·여행상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은 최대 63만 명을 대상으로 9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펼 한다. 최대 63만 명이 대상이다. 연휴 기간 국가 유산 및 국립박물관, 미술관도 무료로 개방한다.
소상공인 등에 대한 민생 부담 경감 조치도 시행했다.
정부는 오는 11월 5일까지 서민·취약계층·청년층을 대상으로 정책금융 1145억 원을 투입한다. 대학생을 위한 소액금융 지원, 불법사금융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서민금융진흥원 직접 대출 등이 속한다. 임금 체불 청산을 위한 융자 금리도 내달 14일까지 0.5∼1.0% 포인트를 한시적으로 인하한다.
연휴 기간 무료 영상통화도 지원한다. 지원 기간은 내달 3일부터 9일까지다. 알뜰폰 가입자도 지원받을 수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추석 성수품 중심으로 역대 최대 공급 확대, 할인 지원, 할당관세 등 가용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서민 및 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생활비 경감, 체불임금 청산 지원 등 민생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