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의 대전·세종·충남·충북 핵심 지역공약 윤곽이 드러나면서 충청권 숙원 사업도 새 출발선에 섰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작업 중인 시도별 7대 전략·15대 추진과제에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충청권 발전 밑그림이 담겼다.
대전은 과학기술 수도로의 도약과 혁신도시 조기 완성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대전혁신도시의 지역 경쟁력을 고려한 공공기관을 이전시키고, 대덕연구특구를 인공지능(AI)·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교통 인프라 확충도 비중 있게 다뤄졌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적기 착공, 대전 도심 철도지하화 단계적 추진, CTX-A 광역철도 사업을 통해 광역교통망을 조기 완성하고 메가시티 기반을 마련한다. 도심 연결도로 신설과 수소트램(대전 도시철도 2호선) 조기 개통도 병행해 교통난 해소에 나선다.
문화·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계획도 담겼다. 글로벌 테크아트 허브를 구축과 교정시설 이전, 일상 속 보훈문화 조성을 지원한다. 3대 하천과 갑천 월평습지의 자연생태 보전, 녹지 조성을 통해 도심 속 힐링 공간을 확충하는 한편,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개발로 대중교통 접근성과 환승 편의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세종은 '행정수도 완성을 통한 대한민국 대전환'이라는 중대 과제가 담겼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을 조기 건립하고, 이들 기관의 완전 이전은 사회적 합의로 추진한다.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빠른 시일 내에 재개하기로 했다. 미래의 행정수도에 걸맞는 공공 인프라 구축도 병행한다.
산업·주거·문화가 융합된 기업혁신 허브 조성도 추진된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전략과 연계해 세종을 스마트·디지털 행정허브로 만들고, 청년과 신혼부부가 살고 싶은 도시를 위해 맞춤형 임대 확대와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충남은 교통 인프라 확충을 비롯해 첨단산업·관광·친환경에너지·공공의료 강화 등 다방면의 발전 전략이 제시됐다.
충남 서산에서 경북 울진을 잇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조기 확정하고, GTX 천안·아산 연장, CTX-A 추진, 제2서해대교 건설 검토가 포함됐다.
또 충남을 국제경쟁력과 생산성을 갖춘 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 산업의 메카로 조성하고, 논산·계룡에 국방 관련 기관을 유치해 스마트 국방산업 발전을 지원한다.
백제고도와 금강권역을 역사문화생태관광 도시로 만드는 계획도 담겼다. 서해안권 해양생태 복원 사업으로는 가로림만 해양정원과 해상교량, 서천 브라운필드 재자연화, 서산 부남호·간월호 해수 유통, 금강하구 자연성 회복 등이 추진된다.
친환경에너지 핵심 거점 조성과 함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지역 지원 특별법도 제정키로 했다.
이와 함께 공공의료 인력 양성과 인프라 확충,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충남혁신도시 경쟁력 강화도 제시됐다.
충북은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이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이를 통해 청주공항을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수도권과 중부·남부권을 연결하는 철도망 건설도 추진한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비롯해 X자형 강호축 철도망, CTX, 수도권 내륙 광역철도 등이 그 대상이다.
또 청주교도소를 이전하고 교육문화특구를 조성하는 방안과 다목적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산업클러스터 구축이 포함됐다.
바이오첨단산업단지 육성 방안도 다수 담겼다. 충북혁신도시를 중부내륙지역 성장거점으로 육성하고, K-바이오 스퀘어 조기 조성, 글로벌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육성, 이차전지·반도체 초격차 경쟁력 확보 등을 지원한다.
'미호강 프로젝트'를 통해 수질 개선과 관광·휴양지도 조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충북 내륙 휴양관광벨트를 완성해 관광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시도별 지역공약은 지역 의견 수렴 등을 거쳐 보완·수정 후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