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와 함께 부산 이전 가능성이 제기되던 극지연구소가 인천에 잔류할 전망이다. 하지만 부산시와 이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인천의 극지연구소를 끌어가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고 인천시의 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
10일 해양수산부와 더불어민주당 정일영(인천 연수구을) 의원 등에 따르면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인 인천 송도국제도시 소재 극지연구소는 이전 대상에 속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수산부는 부산 이전이 본격화한 이후 산하기관 11개 중 ‘의무 이전’ 대상 기관을 추려 각 기관에 통보했는데, 극지연구소는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일영 의원은 “극지연구소 부산 이전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최근 국회에서 전재수 해수부 장관을 만나 (이전 여부를) 물었다”며 “전 장관으로부터 ‘극지연구소는 이전 없이 계속 송도에 있을 것’이라고 분명히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애초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부터 추진된 해수부 부산행과 맞물려 극지연구소의 이전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부산지역 핵심 공약으로 ‘부산을 북극항로 거점 도시로 만들겠다’고 제시한 바 있다.
북극항로는 기후변화로 북극의 빙하 면적이 줄어들면서 새롭게 열리는 항로로, 세계 각국이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부산시는 대선이 열리기 전인 지난 3월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거점항구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나섰다.

부산시의 용역 내용에는 극지체험관과 극지박물관 등 극지타운 조성 여부에 대한 검토도 포함됐다. 극지타운은 지난 2015년 부산시가 추진했다가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중단됐는데, 새 정부 핵심 과제인 해수부 이전과 맞물려 다시 추진될 전망이다. 해수부 산하 기관 중 극지연구소의 이전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제기된 이유다.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는 상황이나 내부에서는 부산 이전 가능성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2006년 인천 송도에 자리 잡은 뒤 20년 가까이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 기업 등과 남극·북극 생태계 분야를 중심으로 형성한 연구 네트워크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다.
극지연구소 내부 사정을 아는 관계자는 “인천을 비롯해 대한민국 서부권의 해양과 지구과학 관련 분야 연구를 활발히 추진해 왔는데, (부산으로 이전하면) 기관 하나가 이전하는 차원을 넘어 연구 생태계가 망가지는 문제”라며 “직원들이 이전과 관련해 발언을 자제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반대하는 분위기”라고 했다.
해수부는 극지연구소 등 산하기관의 부산 이전과 관련해 결정된 내용이 없다는 입장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기관별 역할이 (해수부 이전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검토하는 단계”라며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검토 중인 상황으로 이전 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고 했다.